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지난 3월과 5월 동해와 서해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뒤 남쪽에 머물러온 북한 주민 6명이 탄 선박이 9일 동해상에서 북한으로 가고 있다. 통일부는 선박이 아침 8시56분께 북방한계선을 넘었고, 오전 9시24분께 북한 경비정과 만났다고 밝혔다. 통일부 제공
지난 3월과 5월 동해와 서해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뒤 남쪽에 머물러온 북한 주민 6명이 탄 선박이 9일 동해상에서 북한으로 가고 있다. 통일부는 선박이 아침 8시56분께 북방한계선을 넘었고, 오전 9시24분께 북한 경비정과 만났다고 밝혔다. 통일부 제공

정부가 지난 3·5월 동해와 서해 해상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을 본인들의 뜻에 따라 9일 송환했다. 우리 정부의 보호를 받으려는 의사(귀순 의사)를 밝히지 않은 북한 주민들을 당사자들의 뜻에 따라 송환한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송환 당시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서 기다리다 이들을 데려갔다. 송환과 관련한 남북 간 직접적인 대화는 없었지만 새 정부 들어 처음으로 간접적인 소통이 이뤄진 셈이다.

통일부는 이날 아침 8시56분 북한 주민 6명이 탄 목선이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북한으로 송환됐다고 밝혔다. 북한 경비정과 견인용으로 추정되는 어선이 현장에 나와 있었고 원활하게 송환이 이뤄졌다고 한다. 정부는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을 피하기 위해 동해에서 구조된 목선을 수리해 서해에서 구조된 주민까지 함께 태워 보냈다. 북한 주민을 송환할 때는 판문점을 통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남북관계의 긴장 상태가 여전한 터라 해상 송환을 선택해야 했다. 정부가 지난 7일 송환 의사를 밝혔는데도 북한의 답변이 없어 안전한 송환에 대한 우려도 있었으나 무사히 송환이 이뤄져 다행이다.

정부는 송환을 결정한 뒤 유엔사를 통해 두차례 송환 일시와 해상 좌표를 북쪽에 전달하고 북한 주민들의 상태 등도 지속적으로 북한에 알렸다. 이날 북한 경비정 등이 인계 장소에 대기한 것으로 미뤄볼 때, 북쪽이 남쪽의 송환 의사를 수용한 모양새다. 비록 낮은 단계이기는 하지만 새 정부 들어 남북 간 소통이 성사됐다는 점은 주목할 일이다. 윤석열 정부가 내세운 ‘담대한 제안’이라는 어설픈 흡수통일 계획으로 인해 남북관계는 북한 주민 송환 같은 오로지 인도적인 문제 처리를 위한 의사소통도 불가능할 정도로 차갑게 얼어붙어 있었다. 북한은 2023년 4월 남북 연락 채널을 일방적으로 단절한 뒤부터 남쪽의 통화 시도에 전혀 응하지 않았고,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뒤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하자 북한도 대남 확성기 방송을 그친 데 이어 북한 표류 주민 송환도 원활히 진행됐다. 이번 송환이 지난 3년간 단절됐던 남북 대화의 문이 다시 열리는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불안정한 대외 여건 속에서 한반도 정세의 안정을 회복하는 건 급선무다.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고 북한도 전향적인 태도로 호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