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 원인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이 추정되는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BMS)이 없는 곳이 7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출연 연구기관 가운데 화재 등 장애 대비 이중화가 안 된 곳도 14곳이나 됐다.
13일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과기정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과기정통부 산하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설치한 26곳 중 7곳은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용하지 않아 배터리 화재에 무방비인 것으로 파악됐다.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배터리 각 셀의 온도나 충전상태, 건강상태 등을 측정해 이상 징후가 발생하면 경보를 발령하거나 자동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대전 국가전산센터와 같이 무정전원장치(UPS, 정전 등을 대비해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를 사용하는 11곳 중 4곳(한국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국립광주과학관,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에너지저장장치(ESS, 태양광 등으로 생산한 전기를 저장해 두는 역할)를 설치한 15곳 중 3곳(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해당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았다.
이번 국정자원 화재도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 발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면 진화가 어려워 폭발적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과충전과 과열을 감지하는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이 밖에도 과기정통부 출연 연구기관 중 14곳이 화재 등 장애 대비 이중화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버 이중화가 돼 있지 않으면 이번 국정자원 화재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서비스가 동시에 중단될 수 있다. 최 의원은 “전산망 보호와 데이터 보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전면적인 안전점검과 시스템 개선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채반석 기자 chaib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