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9 총선에서 친박연대와 `친박 무소속 연대'가 각각 14석(비례대표 8석 포함)과 12석이라는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두면서 당장 한나라당 복당 문제가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양 측이 이를 놓고 미묘한 입장차를 보여 주목된다.
`친박 무소속 연대'가 선거 직후 논의를 갖고 한나라당으로의 무조건 복당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인데 반해, 친박연대측은 `당대 당' 통합을 통한 한나라당 복당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친박 무소속 연대' 좌장격으로 부산 남을에서 당선된 김무성 의원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잘못된 공천에 따라 벌어진 일들이 이제는 원상회복 돼야한다. 아무 조건없는 복당을 신청하고 한나라당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내일 `친박 무소속연대' 당선자들이 대구로 박근혜 전 대표를 찾아가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며 "복당 문제는 친박연대와 행동을 통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무소속 연대로 부산 서구에서 당선된 유기준 의원은 "국민이 잘못된 공천의 주역들에 대해서는 심판을 내린 만큼, 잘못된 공천의 피해자인 우리는 아무 조건없이 한나라당에 돌아갈 것"이라고 공감했다.
반면 친박연대 핵심관계자는 복당과 관련, "한나라당이 전 상임위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157석을 차지하기 위해 우리가 필요하다면 `당대 당' 통합을 통해 우리와 손을 잡아야 한다"고 주장해 시각차를 보였다.
이 관계자는 "의원 한 명 한 명이 복당해서는 `찬밥' 신세가 될 수 있는 만큼 `단체'로 들어가는 것이 우리의 권익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에는 지역구 의원(6명)보다 많은 비례대표 의원 8명의 `정치 생명'이 걸려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공직선거법상 비례대표 국회의원의 경우 국회의원 임기 시작(5월30일) 이전에 당적이 바뀌게 되면 당선이 무효가 되기 때문이다.
서청원 대표가 같은 친박연대 소속으로 대구 서구에서 당선된 홍사덕 전 국회부의장의 `즉각 복당' 입장과는 달리 `일정 조건이 만족된 뒤' 복당을 주장하는 것도 이 같은 특수 상황 때문이라는 얘기다.
이런 가운데 당 일각에서 친박연대 소속으로 당선된 비례대표 8명 중 절반이 넘은 5명이 서 대표의 사조직인 `청산회' 출신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서대표 사당화'라는 비판이 일고 있어 향후 갈등의 불씨가 될 지 주목된다.
한편 친박연대 송영선 대변인은 총선 결과 논평을 통해 "친박연대의 승리는 강한 것보다 바른 것이, 힘보다는 정의가 이긴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며 "친박연대에 대한 지지야말로 박 전 대표의 공정, 원칙, 소신에 대한 국민의 믿음"이라고 강조했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