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일러스트 김대중
일러스트 김대중
광고

“선생님, 제가 제일 힘든 건요, 도대체 제가 왜 이런 병에 걸렸는지 도무지 모르겠다는 거예요.”

40대 직장인 ㄱ씨가 상담실에서 건넨 첫마디였습니다. 20년 가까이 익숙하게 걷던 출근길, 지하철역까지 몇 걸음 남지 않은 거리에서 그는 갑자기 멈춰 설 수밖에 없었습니다. 분주히 오가는 사람들 사이에서 숨이 막히고, 손발이 떨리며, 식은땀이 쏟아졌습니다. “이러다 죽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스치자 몸은 아예 굳어버렸습니다.

한참을 그 자리에 서서 호흡만 붙잡고 씨름하다 겨우 진정됐지만, 그날도 다음날도 출근하지 못했습니다. 그렇게 ㄱ씨는 ‘공황장애’라는 낯선 진단과 마주했고, 결국 지난해 휴직계를 내야 했습니다.

광고

공황발작이 일어날 때 우리 몸은 마치 맹수가 눈앞에 달려드는 것처럼 반응합니다. 심장은 두근거리고, 호흡은 가빠지며, 온몸에 경계 신호가 울립니다. 원래 이 반응은 생존을 위한 본능입니다. 그런데 실제 위험이 없는 일상 한가운데서 이 경보가 울릴 때, 우리 삶은 순식간에 흔들립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요? 뇌의 경보장치가 실제 위험과 일상의 긴장을 구별하지 못하게 됐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오랜 스트레스, 과로, 수면 부족, 관계 갈등, 생활습관의 불균형이 복합적으로 쌓여 있습니다.

광고
광고

사실 공황장애는 특별히 약하거나 결함이 있어서 생기는 병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많은 분이 자신을 탓합니다. “나는 연예인도 아니고, 큰 사건을 겪은 것도 아닌데 왜 나한테 이런 일이…” 하고 말이죠.

하지만 제가 수많은 내담자를 만나며 발견한 패턴이 있습니다. 공황장애는 오히려 책임감이 강하고, 스트레스를 오래 견디며,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고 살아온 분들에게 더 자주 찾아옵니다. 착하고 책임감 강한 딸, 아내, 엄마로 살아온 ㄱ씨처럼요.

광고

그 때문에 공황발작이 찾아올 때 많은 분이 “이 두려움을 이겨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두려움과 싸우기보다는 내 몸이 보내는 신호에 귀 기울이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그래야 우리는 두려움에 잠식되지 않고 회복을 위한 실질적 대처를 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 운동, 명상, 건강한 식사 등은 공포를 이겨내는 무기가 아니라, 내 몸과 다시 연결되는 통로입니다.

공황장애는 부끄러운 병이 아닙니다. 도망쳐야 할 감정도 아닙니다. 그저 우리 몸이 보내는 “잠시 멈춰, 나를 돌봐달라”는 간절한 신호일 뿐입니다. 그리고 그 신호에 귀 기울일 때 우리는 다시 자기 자리로, 자기 호흡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용인정신병원 스마트낮병원 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