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1997년 12월2일 서울 명동 삼삼종금 영업부 직원들이 철제 셔터로 출입구를 막은 채 안쪽에서 서성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의 요구에 따라 정부가 9개 종합금융회사에 업무정지 명령을 내린 날이었다. <한겨레> 자료사진
1997년 12월2일 서울 명동 삼삼종금 영업부 직원들이 철제 셔터로 출입구를 막은 채 안쪽에서 서성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의 요구에 따라 정부가 9개 종합금융회사에 업무정지 명령을 내린 날이었다. <한겨레> 자료사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2000년에 캠코(자산관리공사)가 인수한 법인·개인 부실채권 중에 1조7천억원어치가 아직까지도 정리되지 못한 채 장기연체채권으로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찬대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캠코로부터 제출받은 ‘IMF 당시 인수한 채권에 대한 관리 현황’에 따르면, 캠코는 2000년에 개인·법인 부실채권 22만8293건(5조1577억원)을 인수해 채무조정·법적조치·소각 등을 통해 채권을 정리해왔다. 그러나 이 중에 지난 8월말 기준으로 1조7704억원(차주 2만1433건)의 관련 채권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개인 채권은 1만8010건(3662억원), 법인 채권은 3423건(1조4042억원)이다.

캠코는 “잔여 채권은 채권의 상태에 맞춰 채무조정, 소각 등의 방식으로 채무종결에 나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28년 전 국가 부도로 발생한 개인채무자들이 다시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IMF 위기 당시 발생한 채권도 최근 출범한 새출발도약기금의 채무조정 대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계완 선임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