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인공지능 분야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집중 지원에 나선다. 빠른 시일 내에 세계 최고의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국가대표 인공지능(AI)팀’도 선발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제3차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 회의를 주재하며 “글로벌 에이아이(AI) 환경이 급변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우리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민관이 힘을 모아 국가 인공지능 역량 강화를 빠르게 추진해야 할 중대한 시점”이라며 “정부는 빠른 시일내 세계 최고수준의 인공지능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핵심인재 양성과 해외 우수인재 유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인공지능 컴퓨팅 자원 및 데이터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전면적으로 인공지능을 산업화하는 등 국가적인 ‘인공지능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목표다. 먼저, ‘인공지능(AI)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엘엘엠) 개발을 목표로 데이터·지피유(GPU·그래픽처리장치) 등 연구자원을 집중 지원하는 ‘월드 베스트 엘엘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또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1조원 규모의 범용 인공지능(AGI) 핵심원천기술 확보에도 도전한다.
현장의 시급한 인공지능 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1만8000장의 고성능 지피유를 확보하는 한편, 인공지능을 조세특례법상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인공지능데이터센터를 포함한 인공지능 밸류체인 전반에 세제 혜택을 줄 예정이다. 비수도권 데이터센터의 경우, 전력계통의 실수요를 사전 평가해 전력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계통영향평가’ 때 우대해 주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특히 인공지능학습을 위한 양질의 공공·민간 데이터도 대폭 개방하기로 했다. 그동안 자율주행 분야에만 허용했던 비정형 원본데이터(영상 등)를 산업에서 필요한 분야로 확대하며, 공공데이터 중 수요가 높은 비정형데이터·합성데이터 등을 국가중점데이터로 적극 개방한다.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인공지능 연구를 위한 가명정보(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처리한 정보) 제공 실적을 반영하여, 공공데이터 개방을 촉진할 예정이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민관 합동 국가 인공지능정책 컨트롤타워로 지난 9월 출범했다.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이날 회의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기업부 등 관계부처 장관 13명과 민간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 24명이 참석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