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현재 14개(58개 어린이집) 수준의 ‘공유어린이집’을 내년 100개(400개 어린이집)까지 늘려 운영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 보육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발표하며 “2025년까지 6700억원을 투자해 38만명 영유아 누구나 안심하고 누릴 수 있는 아이 키우기 좋은 ‘보육특별시 서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공유어린이집은 3∼5곳 어린이집이 하나의 공동체를 이뤄 △원아 공동모집 △교재·교구 공동 활용 △공동 보육프로그램 개발 △현장 학습기획 등을 함께 진행하는 어린이집 연합체를 말한다. 이렇게 되면 어린이집 운영비는 절감되고 보육서비스 수준은 향상될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또 시는 전체 어린이집 가운데 국·공립 비율을 올해 35.6% 수준을 2025년 50%까지 높이기로 했다. 아울러 공모를 통해 선정된 110개 국공립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신규 채용 시에는 인건비 전액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한 개 반의 정원이 줄어들고, 만 0세반은 기존 3명에서 2명으로 줄어든다. 만 1세반(5→4명), 만 2세반(7→5명), 만3세반(15→10명) 등도 1∼5명씩 정원이 축소된다.
내년부터는 보육교사가 법이 보장하는 휴가를 누릴 수 있도록 상시 대체인력인 ‘비담임 정교사’ 채용을 위한 인건비 지원책도 실시하기로 했다. 내년 근로기준법이 5인 이상 30인 미만 사업장까지 확대 적용됨에 따라 어린이집 선생님들의 휴가 일수도 5∼10일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른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내년 3월부터 서울 유치원 무상급식 전면 시행과 함께 어린이집 급간식비도 유치원과 동일한 수준으로 인상할 예정이다. 하루 한 아이당 최저 단가가 497원 오른 2997원으로 높아진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