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자립 섬인 전남 진도 가사도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한국전력 제공
에너지 자립 섬인 전남 진도 가사도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한국전력 제공

태양과 바람을 활용한 에너지 자립 섬의 경험을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제공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전남도의회 강정희 의원은 14일 전남도를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도가 유인도 275곳에서 사는 주민 18만명의 생활불편을 덜기 위해 에너지 자립 섬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섬 주민이 조명과 난방, 취사 등에 쓰는 에너지를 태양광·풍력·지열 발전으로 자급하도록 하고 있다. 송전선이 놓이지 않아 섬 안에서 경유 발전기를 제한된 시간 동안 가동해야 하는 주민 50~60명 규모의 작은 섬들이 대상이다. 이 사업은 전남뿐 아니라 경북 울릉도, 인천 덕적도, 충남 삽시도, 제주 추자도 등에서도 추진되고 있다.

전남도는 2010년부터 가사도, 거문도, 삼마도, 동거차도 등 14곳에서 이 사업을 마쳤고, 앞으로 서거차도 등 17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한전·엘지·한화·세방 등 기술력을 가진 기업들이 경제성이 낮다며 투자를 꺼리고 정부 지원도 부족해 속도가 더디다. 또 준공 이후 시설을 운용할 비용과 인원이 필요해 관리주체를 선정하기 어려운 점도 발목을 잡고 있다.

광고

강 의원은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현재 7%에서 2030년 20%까지 올리겠다고 발표했다. 전남의 자연조건이 좋은 만큼 정확한 정보를 주민에게 제공해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남북 사이에 경제협력과 교류활동이 시작되면 이 사업으로 축적된 경험과 기술을 북한의 낙도나 오지에서 활용하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강 의원은 이를 위해 산업통상부와 전남도가 공동으로 설립해 서남권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전문적으로 개발해온 녹색에너지연구원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