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지원관실) 장진수 전 주무관이 4일, 청와대 쪽으로부터 받았다는 5000만원짜리 돈묶음 사진을 공개했다. 이 돈묶음은 한국조폐공사에서 찍어낸 신권이 일련번호 순서대로 묶여 있는 ‘관봉’ 형태이고 포장번호까지 상세하게 찍혀 있어, 이 돈의 출처를 찾는 데 결정적인 증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공개된 5장의 사진을 보면, 5만원 신권이 100장씩 묶인 돈다발 10개가 두 줄로 가지런히 놓여 있다. 그리고 돈다발 10개를 하나로 묶은 띠지에는 품명이 ‘한국은행 오만원권’으로 적혀 있고, 기호와 수량, 포장번호가 선명하게 찍혔다. 5만원권 1000장의 일련번호는 ‘CJ0372001B’부터 ‘CJ0373000B’까지로 확인됐다.

이 돈은 장 전 주무관이 “항소심 선고 직후인 지난해 4월13일 ‘장석명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마련한 것’이라며 류충렬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이 준 것”이라고 주장한 돈이다. 공개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 사진은 엘지(LG)전자의 케이유(KU)400 휴대전화로 촬영됐으며, 촬영 시점은 지난해 5월17일 오후 3시1분이었다. 돈을 받은 시점과 촬영한 시점이 한 달 정도 차이가 난다.

광고

장 전 주무관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돈을 받고 한 달 동안 고민을 했다”며 “돈을 쓰기로 결정하고 사용하기 직전에 휴대전화로 사진을 찍었다”고 말했다. 장 전 주무관은 이 돈 가운데 4500만원은 전세자금 대출금을 갚는데, 200만원은 생활비로 썼고, 300만원은 부모님께 송금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사진을 찍어놓은 건 공무원으로서 기록을 남겨야겠다는 생각도 있었고 겁도 났기 때문”이라며 “사진은 한참 뒤에 지웠는데, 어젯밤 ‘파이널 데이터’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복원해냈다”고 설명했다. 장 전 주무관은 이 휴대전화를 검찰에 출석해 제출했고 최근에 돌려받았다고 덧붙였다. 검찰 관계자는 “휴대전화 사진 내용을 분석중”이라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 관봉
정부가 돈을 발행한 뒤 도장을 찍어 봉한 것을 말한다. 한국조폐공사에서 신권 납품을 위해 지폐 100장씩을 띠지로 묶고 10다발을 포개 비닐로 밀폐 포장 처리해 지폐 1000장이 하나의 관봉에 들어가게 된다. 지폐의 일련번호는 순차적으로 배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