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찜질방과의 경쟁에서 밀려난 동네 목욕탕들이 생존 위기에 놓였다.

17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6월 30일까지 대전시내 허가받은 목욕장 수는 223곳에 달하며 그 중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업체는 200여곳이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3월 통계치인 228곳에서 3개월만에 5곳이 줄어든 수치이며 지난 2003년 대형 찜질방이 성업을 이루던 시기와 비교하면 4년 사이에 모두 50여곳이 폐업한 것이다.

광고

대전시 중구청 위생과 관계자는 "현재 중구 지역내에 49곳의 목욕탕과 찜질방 등이 영업중이며 그 중 대형 찜질방만 따지면 3곳 정도 운영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2003년에는 중구청 내에 70곳 정도의 목욕장이 영업을 하고 있었으나 3년 사이에 21곳이 문을 닫았다고 밝혔다.

광고
광고

관계자는 또 "올해 들어 대전시 중구 내에 단 1곳의 찜질방도 들어서지 않았으며 오히려 폐업만 1곳 더 늘었다"며 "하지만 대형 찜질방 3곳은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성업중이며 폐업한 곳들은 대부분 동네목욕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동네 목욕탕들이 위기에 빠진 가운데 대전시 중구 선화동 모 목욕탕은 지난달 3일부터 찜질방처럼 영업시간을 24시간으로 늘리고 목욕비를 3천원으로 내리는 등 파격적인 조치를 단행했다.

광고

주인 장모(47.여)씨는 "동네 목욕탕이 대형 찜질방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내리는 수밖에 없다"며 "동네 슈퍼가 대형할인마트와 싸워 이길 수 있겠느냐"며 한숨을 내쉬었다.

시 목욕협회 관계자는 "지금같은 비수기에는 목욕탕이 허가를 내놓고도 실제로는 영업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대부분 5월 말에 문을 닫았다가 추석 전쯤에 다시 영업을 시작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월에는 시.도지사 권한으로 대형 찜질방의 영업 시간 등을 제한할 수 있게 하는 공중위생관리법 개정안이 추진됐으나 무산됐다.

박주영 기자 jyoung@yna.co.kr (대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