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회원들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혜화동 경실련 강당에서 경제 관련 8개 부처 퇴직공직자의 재취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회원들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혜화동 경실련 강당에서 경제 관련 8개 부처 퇴직공직자의 재취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혜화동 경실련 강당에서 경제 관련 8개 부처 퇴직공직자의 재취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2016년부터 2021년 8월까지 취업 심사를 받은 경제 관련 8개 부처 퇴직공무원 588명을 조사한 결과 485명(82.5%)이 취업가능·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취업심사를 받은 퇴직공직자 10명 중 8명이 재취업한 셈이다. 경실련은 2007년 출범한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이 초대부터 지금까지 원장을 모두 공정위 출신으로 채웠고, 국세청 관리·감독을 받는 ‘대한주정판매㈜’에는 국세청 고위직 출신이 대표이사로, 4급 출신 관료가 부사장으로 재취업한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퇴직공직자의 재취업은 시장 경쟁을 왜곡하고 타인의 취업을 방해하는 부작용을 초래한다”며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허술한 공직자윤리법을 개정해 관피아 근절방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광고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회원들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혜화동 경실련 강당에서 경제 관련 8개 부처 퇴직공직자의 재취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회원들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혜화동 경실련 강당에서 경제 관련 8개 부처 퇴직공직자의 재취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회원들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혜화동 경실련 강당에서 경제 관련 8개 부처 퇴직공직자의 재취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한 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허술한 공직자윤리법 개정하여 관피아 근절방안을 마련하라”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명진 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회원들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혜화동 경실련 강당에서 경제 관련 8개 부처 퇴직공직자의 재취업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한 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허술한 공직자윤리법 개정하여 관피아 근절방안을 마련하라”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명진 기자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