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우크라이나 외교장관이 25일(현지시각) 이탈리아 피우지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 회의를 계기로 만나 우크라이나 특사단 파견과 한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등을 논의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이날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교장관과 한 양자 회담에서 “북한군의 파병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하게 되어 염려스럽다. 우리 정부는 러북 군사 협력의 진전과 우리 안보에 대한 위협에 상응하는 실효적 조치를 단계적으로 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고 외교부가 26일 전헀다.
이에 시비하 장관은 “북한의 파병으로 양국이 공동의 안보 우려를 갖게 되었다”면서 이에 대한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우크라이나 특사가 근시일 내 한국을 방문하여 관련 협의를 이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불법적인 러북 군사협력에 엄정히 대응해 나가기 위해 한국과 관련 동향과 정보를 계속 긴밀하게 공유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조 장관도 “우크라이나 특사 방한시 의미있는 협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호응했다.
한국 정부는 북한군의 우크라이나전 개입에 따라 무기 제공까지 포함한 단계적 우크라이나 지원 시나리오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우크라이나 특사 방한시 구체화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 경우 러시아와의 갈등이 증폭될 우려가 있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지난 24일 타스통신 인터뷰에서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공급하면 “필요한 모든 방법으로 이에 대응할 것이고 이것이 한국 자체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도움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무모한 조치’를 자제하라고 압박했다.
신형철 기자 newir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