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각)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라며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라고 썼다. 트럼프 트루스소셜 캡처.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각)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라며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라고 썼다. 트럼프 트루스소셜 캡처.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은 한·미 극우 세력의 영향력 증가와 연대 움직임이 외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경각심을 일깨웠다. 회담 직전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며 한국에 폭탄 메시지를 냈던 트럼프가 회담에선 “오해”였다고 정리했지만, 면밀한 대처가 필요하다.

트럼프는 정상회담을 2시간 반 남짓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이 ‘한국 수사당국의 교회·군부대 수색을 가리킨 것’이라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마침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과 예정됐던 면담에서 특검 수사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정확하게 전해달라고 요청했다. 트럼프는 회담에서 “잘 해결될 걸로 확신한다”며 물러섰고, 회담은 순조롭게 진행됐다. 비서실장 간 긴박한 소통이 사태 수습에 기여한 것이다.

하지만 마음 놓을 수 없는 것은, 트럼프의 “숙청·혁명” 메시지에 극우 세력 입김이 반영된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 때문이다. 최근 한·미 양쪽에서 중국 혐오와 부정선거론으로 무장한 극우가 목소리를 키우며 결탁하려는 움직임이 지속돼왔다. 이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와 이 대통령 혐오를 공유한다. 미국에서는 로라 루머, 고든 창 등 트럼프 핵심 지지층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인사들이 이 대통령을 공산주의자·반미주의자로 지칭하는 등 부정적 인식을 퍼뜨리고 있다. 이 대통령 당선 직후 백악관이 “중국의 간섭과 영향력 행사에 대해 우려하며 반대한다”는 논평을 낸 것 또한 마가의 흔적 아니냐는 관측을 자아낸 바 있다. 한국에서는 보수 교회 인사들과 극우 세력이 ‘트럼프가 윤석열을 구할 것’이라는 황당한 주장을 하기도 했다. 전광훈 목사는 지난 23일 광화문 집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윤석열 전 대통령을 석방시키라고 명령하기 바란다”고 했다. 지난달 한국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모스 탄 교수의 방한 및 서울대 강연 취소 논란에서 보듯, 양국 극우 세력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한·미 극우 세력은 유튜브 등을 통해 허위 정보와 주장을 지속적으로 퍼뜨리려 할 것이다. 이는 한-미 관계와 국익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한 일이다. 정부는 이번에 가동된 한·미 비서실장 핫라인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 트럼프의 한밤중 메시지에 기다렸다는 듯 ‘이재명 정권의 정치 보복 때문’이라고 반응했던 국민의힘 의원들도 자중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