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퇴진 운동을 벌이는 부산시민단체와 부산시민들이 ‘12·3일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과 체포를 반대하는 박형준 부산시장과 박성훈·정동만 국회의원의 사퇴를 요구했다.
매주 토요일 오후 부산 서면에서 집회를 여는 ‘윤석열 즉각퇴진 사회대개혁 부산비상행동’(부산비상행동)은 7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형준 부산시장과 박성훈·정동만 국회의원은 부산시민에게 엎드려 사죄하고 사퇴하라”고 밝혔다.
박 시장은 12·3 내란이 발생하고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를 의결하기 직전에 “비상계엄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사흘 뒤인 지난달 6일 국민의힘 소속 광역단체장 11명과 함께 “윤 대통령 탄핵은 반대하며 윤 대통령은 2선 후퇴를 해야 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어 지난 6일 국민의힘 시도지사협의회가 발표한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중단과 탄핵소추안 재의결을 요구한다”는 입장문에 이름을 올렸다.
부산비상행동은 “법원이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이의신청을 기각한 것은 윤 대통령 체포가 정당하고 합법적이라는 것이다. 현재의 경제 위기와 사회 혼란은 헌법 질서와 법치주의를 파괴한 윤석열의 책임이다. 따라서 박 시장이 윤 대통령 탄핵 불가와 윤 대통령 체포 중단을 주장하는 것은 경제 위기와 사회 혼란을 조장하는 것이고 내란 동조세력인 것이다. 박 시장은 즉각 부산시민에게 사과하고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부산비상행동은 박성훈(부산 북구을)·정동만(부산 기장군) 국민의힘 국회의원의 사퇴도 요구했다. ‘친윤’으로 꼽히는 두 사람은 지난달 7일 국회 윤 대통령 탄핵 1차 표결에 불참했다. 이어 윤 대통령 체포영장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6일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저지를 위해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으로 갔다.
박 의원은 윤 대통령이 취임한 2022년 5월부터 2023년 7월까지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비서관을 지냈고 2023년 7~12월 해양수산부 차관을 지냈다. 국민의힘 공천을 받아 지난해 5월 국회에 입성했다.
정 의원은 재선 의원이다. 2022년 3~5월 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위원회 상임기획위원을 맡았다. 지난해 10월2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3년 만에 진행한 부산시 국정감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부산에서 흉기 피습을 당한 뒤 헬기를 타고 서울대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은 것을 문제 삼았다. 그는 “이 대표가 헬기를 타고 부산대병원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옮겼다. 국내 최고 수준 부산대병원 외상센터를 무시한 것이 아니냐. 꼼수 전원이다”고 주장했다.
두 의원 지역구 주민들도 사퇴를 요구한다. 부산 북구 주민들은 8일 저녁 7시 박 의원 지역구 사무실 앞에서 박 의원 규탄집회를 연다. ‘윤석열에 분노한 기장군민 시국모임’은 6일 오후 정 의원 지역구 사무실 앞에서 ‘내란수괴 윤석열 방패막이 정동만은 사퇴하라’라는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김광수 선임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