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5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호남의 마음을 듣다’라는 주제로 타운홀 미팅을 열었다. 이날 타운홀 미팅에서 이 대통령은 ‘광주와 전남이 앞으로 무엇으로 먹고살 것인지, 어떻게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동력이 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과 청사진’을 광주시와 전남도에 주문했다. 하지만 광주시와 전남도는 이날 이 대통령에게 미래 성장 동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26일 ‘이재명 대통령이 요청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답변’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냈다. 이 단체는 보도자료에서 “현장에 함께한 광주시장과 전남도지사 등 지역 정치인들의 답변은 준비가 부족했고, 실질적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다”며 “그래서 지금, 대통령의 물음에 시민사회의 목소리로 답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광주·전남 미래 성장의 동력의 이 단체가 주목한 것은 한빛원전 1·2호기다. 올해 12월(1호기)과 2026년 9월(2호기) 각각 설계수명(40년)이 끝난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해 12월 원자력안전위원회에 한빛1·2호기 계속 운전을 위한 운영변경 허가를 신청했다. 한빛1·2호기를 각각 10년씩 연장해 발전소를 더 가동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원안위는 최장 2년간 분야별 심사를 거쳐 수명 연장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1석9조, 실용적이고 정치적 부담 없는 선택으로, 한빛 1·2호기 수명연장 중단”을 이 대통령에게 요청했다. 한빛 1·2호기는 “지금까지 총 103건의 사고를 기록했으며, 격납건물 철판 부식, 내진 부실, 제어봉 오작동 등 중대한 기술적 결함이 반복적으로 드러났다”며 “지역 주민의 동의 없이 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6개 기초지자체가 반대 의견을 제출하거나 공청회를 무산시킨 바 있다”고 설명했다.
한빛 1·2호기 수명 연장을 중단하면 재생에너지 계통연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게 이 단체의 주장이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윤석열 정부는 2024년 9월부터 재생에너지 계통연계를 제한해 광주·전남 지역은 송전용량의 여유가 있는데도 재생에너지 연계가 막혀 신규 발전소 건설이 중단된 상황”이라며 “한빛 1·2호기를 멈추면 그 송전용량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어, 계통연계 문제의 돌파구가 된다”고 제언했다.
또 “송전망을 재생에너지에 활용하면 인프라 건설을 국가 예산 없이 대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 확대는 에스케이하이닉스, 엘지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알이백(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캠페인) 기업의 지역 진출 여건을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원전 수명 연장 중단은 즉각적인 행정 조치로 가능하며, 정책 가시성과 실현 가능성이 크다”며 “태양광·해상풍력을 중심으로 한 발전 잠재력은 호남이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의 허브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