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지난달 17일 내란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지난달 17일 내란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란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을 지시하고 보고받은 의혹과 관련해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을 14일 다시 불러 조사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명분을 만들려고 북한 도발을 유도하려 했다는 외환 의혹의 실체를 규명하려는 차원이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10시 김 전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평양 무인기 작전이 정상적인 지휘 체계를 거쳐 진행됐는지 등을 조사 중이다.

김 전 사령관은 이날 특검팀에 출석하며 기자들을 만나 김용현 전 장관이 경호처장 시절 직접 대면보고를 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전투 실험을 좀 하고 있다는 얘기 정도만 했지 작전 계획을 보고한 적은 없다”고 부인했다. 평양 무인기 작전을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에게 보고하지 않았다는 이른바 ‘합참의장 패싱’ 의혹에 대해 김 전 사령관은 ‘군의 지휘체계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그는 “김명수 의장에게 몇 가지 보고한 적이 있고,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에게는 모든 것을 다 보고했다”고 답했다.

광고

김 전 사령관은 여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평양 무인기 작전 전후로 여러 차례 통화한 것과 관련해서는 “여인형과는 육군사관학교 동기고, 인력 수급 관련 어려운 심경을 많이 토로했고 도움을 좀 줄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대화를 했던 것”이라며 “작전과 관련해서는 얘기하고 그런 건 없었다”고 밝혔다.

앞서 특검팀은 합참 주요 간부 등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평양 무인기 작전의 지휘체계 등을 조사했다. 특검팀은 평양 무인기 의혹과 관련해 지난달 법원에 청구한 김 전 사령관의 구속영장이 기각된 뒤 그를 한차례 더 불러 조사했다. 이후 합참 작전기획부장과 합동작전과장, 법무실장 등을 참고인 신분으로 잇따라 조사해 평양 무인기 작전과 관련된 기초적인 사실관계를 파악해왔다.

박찬희 기자 chpar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