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상대임금이 꾸준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비정규직 중 특수형태(특고)·일용직 노동자보다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은 전문직종의 기간제 노동자가 증가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월간 노동리뷰에 실린 ‘최근 비정규직의 상대임금 변화 분석’ 보고서를 보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기준으로 한 2023년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상대임금) 수준은 54.0%였다. 근로시간이 짧아 임금이 낮은 시간제 노동자를 제외하면 비정규직의 월평균 상대임금 수준은 정규직의 76.2%로 오른다. 상승폭엔 다소 차이가 있지만 2020년을 기점으로 비정규직의 상대임금은 꾸준히 오르는 추세다.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기준 특수고용, 단시간 노동자를 제외한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2023년 월임금총액 수준은 55.5%였다. 2020년 조사에서 비정규직 상대 월임금총액 수준은 53.4%였는데, 이 역시 작은 폭이지만 상승 추세다. 구체적으로는 월 정액급여 기준 비정규직의 상대임금 수준은 61.5%, 비정규직의 월 초과급여(연장·휴일 근로수당 등) 상대임금 수준은 53.8%였다. 반면 특별급여(상여금·성과급 등) 수준은 13.0%로 현저히 낮았다. 보고서는 “비정규직의 상대 정액급여는 상대 월임금총액보다 높은 수준이어서 초과급여 및 특별급여가 월임금총액 격차를 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비정규직의 상대임금이 상승한 원인에 대해 기간제(계약직) 노동자 비중이 증가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기간제 노동자의 정규직 대비 상대 월평균 임금은 79.7%로, 다른 근로형태보다 임금 수준이 높은 편이다. 이기쁨 책임연구원은 “특고 노동자가 지난해보다 0.38%포인트 증가한 데 반해 기간제 노동자의 비중이 2.81%포인트로 다소 증가폭이 컸다”며 “보건사회복지업 등 전문직 비중이 높은 기간제 노동자가 증가해 비정규직의 상대임금도 오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의 바탕이 된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와 노동부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는 조사 대상, 조사 기간, 조사 범위(산업) 등이 다르다. 이기쁨 책임연구원은 “두 조사상 비정규직의 상대임금 추이를 모두 살펴봐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