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가 18일 당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쳐 사무총장에 임종석(46) 전 의원을 임명했다. 또 정책위의장에 이용섭(61) 의원을, 당 대표 비서실장에 홍영표(55) 의원을 임명했으며, 대변인은 애초 내정됐던 조정식 의원의 고사로 추후 임명하기로 했다.

한 대표 체제의 첫 당직 인선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40대 중반의 임 사무총장 발탁이다. 당 사무총장은 오는 4월 총선에서 후보 공천 등 실무를 책임지는 요직이다. 한 대표의 한 측근은 “사무총장으로 추천된 인사가 여럿 있었지만, 한 대표가 임 전 의원을 강력하게 원했다”고 전했다.

민주통합당 안팎에선 임 사무총장의 임명을 둘러싸고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그는 17대 의원 시절 보좌관이 삼화저축은행에서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기소돼 지난달 28일 1심에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 이를 두고 임 사무총장을 잘 아는 한 정치권 인사는 “현시점에서 임종석은 민주당 사무총장에 걸맞은 ‘최선의 카드’다. 단 재판을 받고 있지 않다면…”이라고 표현했다. 2건의 재판을 받고 있는 한 대표가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는 임 사무총장을 선택함으로써 일종의 ‘정면 돌파’를 선언한 셈이다.

광고

당직자들은 대체로 임 사무총장에게 우호적이다. 그가 비교적 계파에 얽매이지 않은 젊은 인물이고, 앞으로 진행될 총선 공천심사에서 비교적 강한 쇄신 드라이브가 가능한 인물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임 사무총장이 당의 생리와 당무를 잘 알고 있는데다, 기획력과 돌파력이 있어 당의 체질을 개선하는 데 적합한 인물”이라고 평했다. 임 사무총장도 이날 “중요한 시기에 파격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국민들로부터 혁신의 요구를 받고 있기 때문에 발 빠르게 대응해나가라는 의미로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당내에선 한 대표가 검찰개혁을 강조한 나머지 ‘무리수’를 뒀다는 시각도 적잖이 존재한다. 자신의 보좌관이 돈을 받은 사실을 몰랐다고 하더라도, 보좌관의 부적절한 행위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느냐는 것이다. 특히 민주당은 선관위에 대한 ‘디도스 테러’ 사건과 관련해, 보좌진들이 연루된 최구식 의원과 박희태 국회의장의 책임론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임 사무총장 카드가 한나라당이나 보수언론에 역공의 빌미를 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광고
광고

임 사무총장도 이런 부분을 의식한 듯 이날 “제가 이렇게 엄중한 시기에 사건의 진실에 대한 확신이 없었다면 총장직을 수락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삼화저축은행 사건은 박지만(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 동생), 정진석 전 청와대 정무수석 등이 등장하는 권력형 사건”이라며 “(내게 유죄를 선고한) 1심 재판부는 의혹투성이인 한상률 전 국세청장에게는 무죄를 선고했다”며 재판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