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초대형 지진 발생 때 희생자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계획을 확정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2일 일본 정부가 하루 전 열린 중앙재난방재회의에서 일본 서남부 난카이 해곡 대지진 발생시 예상 사망자의 80%, 건물 전파 피해의 50%를 감소시키기 위한 ‘난카이 대지진 방재대책 추진 기본계획’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14년 난카이 대지진 관련 대책을 내놓으면서 최대 피해 추정치를 사망자 33만2천명, 건물 전소 250만채로 추정했다. 이어 올해 3월에는 최신 데이터를 반영해 최악의 경우를 가정했을 때, 사망자 29만8천명과 전파 건물 235만채로 피해 규모를 소폭 낮췄다.
난카이 해곡 대지진은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시코쿠 남부 해역까지 이어진 난카이 해곡에서 100~150년 간격으로 발생하는 규모 8∼9급 지진을 일컫는다. 이전에는 1854년, 1707년, 1605년, 1498년, 1361년 대지진이 있었다.
가장 최근에는 1944년과 1946년 대지진 뒤 80여년이 지났는데, 일본 정부는 향후 30년 안에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80% 정도’로 보고 있다. 이때 대규모 사망자 뿐 아니라 부상 62만~95만명, 피난 950만∼1230만명이 발생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일본 전국 47개 도도부현(광역지방자치단체) 가운데 29곳이 지진해일(쓰나미) 위험에 노출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일본 정부는 이날 11년 만에 개정한 ‘난카이 대지진 방재대책 추진 기본계획’에서 대지진으로 인한 직접 사망자 감소 뿐 아니라 부상 치료 미비 등으로 사망하는 걸 막기 위한 ‘생명 연결 대책’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지진해일(쓰나미) 대피로 정비, 재난 훈련 강화, 안전한 대피소 조성 등을 위해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민간 사업자의 연계 확대를 비롯한 205개 과제도 제시했다. 아사히신문은 “정부가 마련한 계획을 바탕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특성에 맞춘 세부 재난 대책 계획을 수립하게 될 것”이라며 “정부가 해마다 과제와 추진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도쿄/홍석재 특파원





![[사설] 묵과 못할 정부자산 헐값 매각, 철저히 조사해야](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57/154/imgdb/child/2025/1105/53_17623353113839_20251105503605.webp)






![“건진에게서 샤넬 가방 받았다”…김건희가 인정한 까닭 [공덕포차]](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57/154/imgdb/child/2025/1105/53_17623435244639_20251105503855.webp)



















![<font color="#FF4000">[단독]</font> 추경호, 우원식 ‘국회 집결’ 공지 받아놓고 2분 뒤 “당사로” 장소 급변경](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05/53_17623299201923_981761787745694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