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슈미르 민간인 테러 발생 이후 인도가 파키스탄에 인더스강 물 공유 조약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하자, 파키스탄이 “전쟁 행위”라며 또다른 보복 조처를 내놓으며 양국 간에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24일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파키스탄 총리실은 인도가 하루 전 인더스 조약을 중단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물 공급을 방해하려는 모든 노력을 전쟁 행위로 간주하겠다”고 밝혔다. 셰바즈 샤리프 총리가 이끄는 파키스탄 총리실은 국가안보위원회를 소집한 뒤 이날 낸 성명에서 인도를 상태로 국경 폐쇄, 무역 중단, 인도 운영 항공사에 대한 영공 폐쇄를 명령했다. 이는 하루 전 인도 외교부가 각종 외교적 보복 조처를 취한 것에 대한 재보복 조처다. 파키스탄 총리실은 자국에 머물고 있는 인도 외교관과 군인들을 외교 기피 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이라 선언하며 파키스탄을 즉시 떠나라고 지시했다. 인도 국적자에게 발급된 비자도 취소했다. 이날 파키스탄 정부의 보복 조처는 하루 전 인도 외교부가 파키스탄 정부에 취한 조처와 흡사하다.
셰바즈 샤리프 총리는 성명에서 “파키스탄의 주권과 국민 안보에 대한 위협은 모든 영역에서 확고한 상호 조처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외무장관도 자국 뉴스채널에서 “인도는 무책임한 조처를 취하고 의혹을 제기했다”며 인도를 비판했다. 파키스탄은 이번 공격에서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았다고 부인하고 있다.
지난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민간인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로 최소 26명이 사망한 이후 양국의 긴장 상태는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인도가 외교적 제재를 넘어 군사 행동에 나설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인도 내부에서는 군사 행동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가디언은 인도와 파키스탄의 갈등 격화 양상을 두고 “핵무기 라이벌 인도와 파키스탄의 군사적 대결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카슈미르 민간인 공격 사태에 대해 “(테러 범인을) 끝까지 찾을 것”이라며 응징 의지 확고히 피력했다. 모디 총리는 “인도는 모든 테러리스트와 그들의 배후를 식별하고, 추적해 응징할 것”이라며 “지구 끝에 있더라도 반드시 쫓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슈미르 인도 경찰은 24일 이번 공격에 연루됐다고 의심되는 무장세력의 이름을 공개하고 이들을 체포하는데 도움이 되는 포상금을 발표했다. 용의자 세 명 중 두 명이 파키스탄인이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