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정부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된 가운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는 700명의 직원이 잘못된 ‘해고 통지’를 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12일(현지시각) 시엔엔과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1300명의 질병통제예방센터 직원들이 10일 밤 해고 통지를 받았는데, 이 중 700명은 이튿날 통지가 잘못됐다는 알림을 받았다. 질병통제예방센터를 관할하는 미국 보건복지부의 앤드루 닉슨 홍보국장은 “일부 직원들에게 잘못 통보가 나갔다. 이들에겐 모두 감원 대상이 아니라고 알렸다”며 해명했다. 시스템의 코딩 오류로 인해 해고 대상이 아닌 직원들에게도 해고 통지가 간 것으로 알려졌다.
‘해고 취소’ 통보로 복직한 직원들은 전염병 발생 시 가장 먼저 현장 대응에 나서는 역학조사서비스(EIS)팀, 질병통제예방센터의 발행 저널인 ‘주간 사망률·발병률 보고서(MMWR)’ 발행팀, 국립면역·호흡기질환센터, 공중보건인프라센터 등에서 일하는 직원들이라고 한다. 보복이 두려워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 관계자는 해고 통보를 받았던 역학조사서비스팀 임직원들이 해고를 취소한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모든 임직원이 돌아왔다”고 확인했다.
미국 내 홍역 대응 총괄지휘관 등 방역 최전선 인력도 최초 해고 통지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올해 들어 홍역이 1563건 발생해, 2000년 ‘홍역 퇴치 선언’ 이래 25년 만에 최대 홍역 발생 건수를 기록 중이다. 백신 음모론이 만연하며 예방 접종률이 감소한 점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10일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 셧다운이 민주당의 책임이라고 비난하며 이참에 민주당 우선 정책 위주로 수천명의 연방 공무원을 해고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기사 보기: 트럼프 행정부, 셧다운 핑계로 연방 공무원 4600명 해고 시작) 이런 방식의 전례 없는 보복성 해고는 부적절하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통상 셧다운 기간 동안 공무원들은 월급을 받지는 못하지만, 셧다운이 끝나면 소급 지급됐다.
올 초 질병통제예방센터 수석부국장직에서 사임한 니라브 샤 콜비대 교수는 “당장은 해고가 눈에 띄지 않겠지만, 다음 의료보건상의 위기가 닥쳤을 때 나라가 빠르게 대응하는 데는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