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사. 우리은행 제공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사. 우리은행 제공

우리은행이 부행장 정원을 줄이고 절반을 물갈이하는 등의 대대적인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전 지주 회장 관련 부당대출 등으로 논란이 된 만큼 내부통제 역량 강화와 쇄신에 중점을 둔 조직 개편도 이뤄졌다.

우리은행은 12일 부행장 정원을 기존 23명에서 18명으로 줄이고 기존 부행장 가운데 11명이 물러나는 등의 임원인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승진 부행장 6명 가운데 1971년생까지 포함하고 해외법인장도 1970년대생 본부장급을 발탁하는 등 세대교체에도 나섰다.

이와 함께 본부 조직을 기존 20개에서 17개로 줄이는 조직 개편도 실시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 업무를 기업그룹으로 통합하는 등 효율성을 도모했다는 설명이다. 금융사고 예방과 위험관리를 위해 자금세탁방지센터와 여신감리부는 본부급으로 격상했고, 준법감시실에 책무지원팀을 새로 만들어 책무구조도 이행 등의 업무를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우리은행 쪽은 밝혔다. 조직 쇄신을 위해 혁신경영 태스크포스팀(TFT)도 만들기로 했다. 성과관리체계 변경, 여성인력 확대 등 중장기적인 인사전략을 수립·추진하는 역할이다.

광고

이번 임원 인사와 조직 개편에는 정진완 차기 우리은행장 후보자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 후보자는 앞서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직원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는데, 이번 조직개편에서 정보보호본부와 자금세탁방지본부를 준법감시인 아래로 모아 재배치했다. 영업점 직원의 중복 업무를 줄이고 내부통제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시간을 확보하는 취지라는 설명이다.

우리은행 쪽은 “내부통제 역량 강화를 바탕으로 본업 경쟁력을 높여 2025년을 신뢰 회복의 원년으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광고
광고

한편 우리금융지주도 이날 임원 9명 가운데 3명을 교체하고, 경영지원과 브랜드부문에 1970년대생을 승진 발탁했다. 우리금융 쪽은 “올해 대내외 위기를 맞으면서 고객과 주주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는 절박함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다. 새로운 경영진들이 변화와 혁신의 새바람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