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주 한-미 통상협의에서 ‘최상의 제안’(A Game)으로 평가한 부분은 우리 정부가 제시한 조선업 협력 방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전문가들은 정부가 향후 협상 과정에서 미국 조선업 현지 투자를 약속하는 건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낙후한 미국 조선소를 현대화하는 데 막대한 투자가 필요해서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6일 인천공항에서 ‘베선트 장관이 최상의 제안이라고 평가한 협상 방안이 무엇인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 정부가 제시한 조선 산업 협력에 공감을 한 것 같다”며 “국내 기업들의 대미 투자와 인력 양성, 기술 협력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안 장관의 말처럼 현재 미국이 목마른 부분은 조선업이다. 미국은 조선소가 21곳에 불과하며, 연간 5척의 선박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전세계 선박 수주량이 2위인 한국이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협력에 나설 수 있다. 이미 한화그룹은 지난해 미국 필리조선소를 직접 인수한 상태이며, 에이치디(HD)현대도 이달 초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골스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기술 협력은 물론 생산 인력 교육에도 힘을 보태기로 한 상황이다.

광고

군함 유지·보수·정비(MRO)와 신규 군함 건조도 협력 방안으로 꼽힌다. 미국 법은 자국 조선소에서만 군함 수리 및 건조를 허용하고 있는데, 예외 조항이 있다. 해외가 근거지인 미 군함 및 연안 전투함은 국외 조선소에서도 수리가 가능하며, 대통령 승인이 있으면 국외 조선소에서도 신규 군함을 건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존 페일런 미국 해군성 장관은 이르면 이번주 한국 조선소를 방문할 계획이다.

다만 미국 현지에 직접 투자하는 것은 비용 부담이 너무 커 국내 조선업체들은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미국 내 협력업체, 전문인력 등의 공급망도 무너져 있어 투자 위험 요인도 크다. 이름을 밝히길 꺼린 무역단체 고위 관계자는 한겨레에 “미국 조선업 현지 투자는 확실한 투자 인센티브를 보장받기 전까지는 정부가 섣불리 이야기를 꺼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