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지난 2일 전남 보성군 조성면 간척지에서 해충 벼멸구 피해를 본 벼가 누렇게 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일 전남 보성군 조성면 간척지에서 해충 벼멸구 피해를 본 벼가 누렇게 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전국 쌀 생산량이 1년 전보다 1.2% 감소한 365만7천톤(t)으로 예상된다. 최근 전남·전북 중심으로 발생한 벼멸구 피해가 확산할 경우 실제 생산량이 더 줄어들 가능성도 제기된다.

통계청은 7일 올해 쌀 예상생산량이 365만7천톤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370만2천톤과 비교해 1.2% 감소한 수준이다. 지난 9월11일∼23일 전국 논벼·밭벼의 예상생산량을 표본조사해 추정한 결과로, 확정 생산량은 오는 11월에 공표된다.

생산량이 줄어든 배경은 재배면적 감소다. 올해 쌀 재배면적은 지난해 70만8천헥타르(ha)에서 1.5% 줄어든 69만8천헥타르다. 전략작물직불제,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등 쌀 수급균형정책 추진 등 효과로 재배면적이 줄었다.

광고

10아르(a)당 예상생산량은 전년(523㎏)과 유사한 524㎏으로 예측된다. 통계청은 지난 8월에 일조시간이 늘어나는 등 양호한 기상여건으로 10아르당 생산량이 전년 대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9월에 접어들며 비가 자주 내리고 벼멸구 피해까지 발생하면서 생산량이 전년과 유사한 수준에 그칠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조사를 마친 뒤에도 벼멸구 피해가 더 확산하면 실제 쌀 생산량은 예상치보다 더 감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조만간 이날 발표된 예상생산량을 바탕으로 쌀 산지 가격 안정화를 위한 추가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9월 농식품부는 쌀 초과 생산량 전량을 시장 격리하는 내용을 뼈대로 하는 ‘쌀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10∼12월 수확기 현지 쌀 가격은 농가 소득과 직결된다”며 “쌀 가격 안정화를 위해 내년도 쌀 수요 예상치를 확정해 추가 대책을 곧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광고
광고

한편, 이날 열리는 국회 농식품부 국정감사에서는 쌀값 하락 대책과 관련해 ‘양곡관리법’과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법(농안법)’ 개정을 둘러싼 여야 공방이 이어졌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21대 국회에서 쌀 의무매입 조항 등을 담은 양곡관리법을 발의했으나, 윤석열 대통령이 1호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면서 법안이 폐기된 바 있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