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가 소화수조에 담긴 배터리를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가 소화수조에 담긴 배터리를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은 정부 행정 전산망의 심장부이자 디지털 정부를 떠받치는 핵심 기관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대규모 정보시스템과 전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통합 구축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주요 임무다.

국정자원은 정부의 대표 아이티(IT) 인프라 서비스인 지(G)-클라우드와 정부원격근무망(GVPN)을 비롯해, 인공지능 기반 사이버보안 체계, 공공기관 서비스의 클라우드 전환, 재해복구체계 구축 등 디지털 정부 실현을 위한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다.

조직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에 자리한 대전본원을 중심으로 광주와 대구에 분원격인 센터를 두고 있다. 이번 화재가 발생한 대전본원에는 정부24, 우체국, 119 소방신고 등 647개 핵심 시스템이 집중돼 있어 주민센터 민원 발급과 우체국 금융 업무 등이 마비되는 등 시민 생활에 직접적인 차질이 발생했다. 반면 광주센터에는 경찰 112신고, 법무부·특허청·국세청 시스템이, 대구센터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리와 인공지능 공통기반 시스템이 있어 치안과 민생 지원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광고

충남 공주에는 재난·재해로 인한 마비 사태에 대비해 국가 전산자원과 시스템을 보호하는 공주센터가 지난 8월부터 운영되고 있으나, 재해복구시스템은 아직 본격적으로 구축되지 않은 상태다.

국정자원은 2005년 정보통신부 산하 ‘정부통합전산센터’로 설립됐으며, 2017년 7월 현 명칭으로 개편됐다. 이번 화재가 발생한 대전본원 건물은 2005년까지 케이티(KT) 연구소로 사용되다 정부가 임차해 활용해온 곳으로, 지금도 정문에는 ‘KT OSP 이노베이션 센터’라는 간판이 남아 있다.

장수경 기자 flying710@hani.co.kr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