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과부틀’

무슨 뜻인지 아십니까? 한마디로 과부를 찍어내는 틀이랍니다. 옛날에 누군가 만들어낸 모터사이클의 별명입니다. 남편들이 그걸 몰았다 하면 픽픽 죽어나가 부인들이 과부 신세가 됐다는 거지요. 이번호 커버스토리에 찬물을 끼얹는 듯하지만, 모터사이클을 대할 때 저는 그 단어가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어릴 적 무지하게 세뇌를 받아서 그럴 겁니다.

그렇습니다. 대개의 사람들은 “모터사이클은 참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빨갱이는 나쁘다”는 등식과 비슷한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인지 차도에서 라이더들을 만나면 짜증을 내는 승용차 운전자들이 많습니다. 더구나 자동차 전용도로까지 휘젓고 다니면 짜증 두 배입니다. 오늘도 저는 차를 몰고 오는 강북강변로 출근길에서 모터사이클, 그중에서도 배기량이 적은 작달막한 스쿠터의 질주를 보았습니다. 명백히 불법행위였습니다. 국가보안법이 시퍼렇게 살아 있듯, 도로교통법 제63조(구 58조)가 눈뜨고 있는데 말입니다. 이륜차의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출입을 금지하는 그 조항은 지난해 1월 헌법재판소로부터 합헌결정까지 받았습니다.

광고

하지만 반대쪽에서 할 말도 많습니다. 가령 모터사이클의 고속도로 주행을 금지시킨 나라는 세계에서 몇 안 됩니다. 한국과 타이, 베네수엘라 정도입니다. 선진국이라 하는 미국·일본·유럽에선 다 허용합니다. 모터사이클의 사고율은, 프랑스의 경우 고속도로가 국도보다 네 배나 낮다고 합니다. 영국은 세 배입니다. 모터사이클을 모는 이들은 “위험이란 추상적 개념이고, 구체적 통계가 모터사이클의 안전성을 입증한다”고 말합니다. 사실 폭주족은 모터사이클 인구의 극히 일부입니다. 폭주족에겐 과부틀이지만, 소박한 라이더들에겐 안전틀이자 절약틀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쿠터로 출근하는 이들이 많아질수록, 모터사이클 권리찾기 운동도 더 많은 지지자들을 확보하게 되겠군요.

고경태/ <한겨레> 매거진팀장 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