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농장 비닐하우스 밖 화장실. 고무통 위에 걸친 나뭇조각이 발판이다.
채소농장비닐하우스밖화장실.고무통위에걸친나뭇조각이발판이다.

사람들이 다니는 길 옆에 나무판자 몇 개 걸쳐놓은 고무통. 그 주변을 엉성하게 둘러싼 검은 차양막.

2021년 1월17일 경기도 포천의 한 채소농장에 있는 이주노동자 숙소의 화장실 모습이다. 20대 여성 노동자도 이 화장실을 쓴다. 여기 농장주는 비닐하우스 안에 조립식 패널로 지은 숙소와 이런 화장실을 이주노동자에게 제공한 대가로 매달 15만원을 받는다. 고용노동부가 마련한 ‘외국인 근로자 숙식정보 제공 및 비용징수 관련 업무지침’에 따른 것이다.   

포천 채소농장 숙소 안 냉장고 모습. 농장주는 식사를 제공하지 않는다. 과일과 먹다 남은 빵은 며칠 전 이주노동자 인권운동단체에서 준 것이다.
포천채소농장숙소안냉장고모습.농장주는식사를제공하지않는다.과일과먹다남은빵은며칠전이주노동자인권운동단체에서준것이다.
채소농장 비닐하우스 숙소 방문 앞 고무대야에 받아놓은 물이 꽁꽁 얼었다. 이주노동자들은 이곳에서 매일 씻고 빨래한다.
채소농장비닐하우스숙소방문앞고무대야에받아놓은물이꽁꽁얼었다.이주노동자들은이곳에서매일씻고빨래한다.

이 지역의 기온이 영하 18도까지 떨어져 한파 경보가 내려진 2020년 12월20일, 이웃한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캄보디아 출신 서른 살 여성 이주노동자 누온 속헹이 숨진 채 발견됐다. 이 기사가 보도된 뒤 이주노동자의 열악한 숙소는 잠시 세간의 주목을 받았지만, 달라진 건 없다.

광고

포천이주노동자센터 대표인 김달성 평안교회 목사는 “비닐하우스 숙소는 바닥이 지나치게 얇아 단열이 안 되고 웃풍이 세다. 난방시설이라곤 전기장판이나 전기히터가 전부”라고 실상을 전했다. 김 목사는 “조립식 패널이라 화재에 약한데, 화재감지기나 소화기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스물다섯 살의 네팔 출신 여성 이주노동자가 1월17일 경기도 포천의 한 채소농장 비닐하우스 안에 조립식 패널로 지은 숙소에서 전기히터 앞에 쪼그려 앉아 있다. 그는 영하의 추위에 비닐하우스 밖에 있는 간이화장실에 가는 일이 너무 힘들다고 했다.
스물다섯살의네팔출신여성이주노동자가1월17일경기도포천의한채소농장비닐하우스안에조립식패널로지은숙소에서전기히터앞에쪼그려앉아있다.그는영하의추위에비닐하우스밖에있는간이화장실에가는일이너무힘들다고했다.

베트남에서 온 꾸엔(가명)은 두 아이의 아빠다. 취업비자로 2년 전 들어온 그는 포천의 다른 채소농장 비닐하우스에서 일한다. 밀폐된 비닐하우스 안에서 농약을 치고 열무나 쑥갓 따위를 수확한다. 두 캄보디아 여성 노동자와 함께 50여 개 비닐하우스를 맡아 농사짓는다.

광고
광고

그는 요즘 아침 7시30분부터 오후 5시30분까지 일한다. 겨울이 아닌 때는 아침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일한다. 대다수 채소농장 노동자가 그렇듯, 그의 한 해 노동시간은 3천 시간이 넘는다.

꾸엔은 일터를 옮기고 싶다. 하지만 농장주가 동의서를 써주지 않는다. 고용허가제에 따라 이직을 원하는 이주노동자는 직전 고용주로부터 계약 해지 확인서를 받아야 한다.

광고
네팔 출신 이주노동자들이 포천의 채소농장에서 일하고 있다.
네팔출신이주노동자들이포천의채소농장에서일하고있다.
경기도 고양의 이주노동자 숙소에 붙은 안내문. 노동자가 지켜야 할 사항을 타이어로 번역해놓았다. 
경기도고양의이주노동자숙소에붙은안내문.노동자가지켜야할사항을타이어로번역해놓았다.
타이 출신 노동자들이 일요일인 1월24일 점심을 먹은 뒤 가족과 화상통화를 하고 있다.
타이출신노동자들이일요일인1월24일점심을먹은뒤가족과화상통화를하고있다.

고양·포천=사진·글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