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장애영유아 보육·교육 정상화를 위한 추진연대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정부에 장애영유아 교육?보육 차별해소와 의무교육을 보장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적힌 손팻말을 들어보이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5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장애영유아 보육·교육 정상화를 위한 추진연대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정부에 장애영유아 교육?보육 차별해소와 의무교육을 보장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적힌 손팻말을 들어보이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장애 영유아를 둔 학부모와 특수교사, 어린이집 원장 등 50여 명이 5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모였다. 장애 영유아 보육·교육 정상화를 위한 추진연대가 연 기자회견에 참여하기 위해서이다. 이들은 “장애영유아에게 보육과 교육은 성장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라고 호소한 뒤 장애 영유아 보육과 유아교육 정책에 차별을 없애고 공공성을 강화해 줄 것을 촉구했다.

장애유아 의무교육 대상 아동은 여느 영유아와 마찬가지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각각 이용해 보건복지부와 교육부의 협력과 공조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장애 유아 의무교육이 시행 된 지 10년 여가 지나도록 부처간 아무런 협력체계가 없다. 실질적으로 장애 영유아를 어린이집에서 돌보는 데 필요한 특수교사가 배치되지 못해 장애영유아 어린이집의 의무교육은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광고

5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장애영유아 보육·교육 정상화를 위한 추진연대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정부에 장애영유아 교육?보육 차별해소와 의무교육을 보장할 것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5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장애영유아 보육·교육 정상화를 위한 추진연대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정부에 장애영유아 교육?보육 차별해소와 의무교육을 보장할 것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