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끝내 강행한 12일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고양시민’이라고 밝힌 한 시민이 퇴근하는 시민들에게 나눠준 유인물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시민은 ‘시민은 국정역사교과서에 왜 반대해야 하나?’라는 제목의 글에서 국정화 반대 논리를 조목조목 짚었다. 이런 내용은 트위터 이용자 ‘@week_end_’가 13일 자신의 트위터에 유인물의 내용을 스캔해 올린 트위트가 리트위트되면서 누리꾼들 사이에서 눈길을 끌었다.
‘@week_end_’는 글을 게재하면서 “화정역 광장에서 한 중년 분이 나눠주시던 종이에 적힌 글을 스캔했습니다”면서 “이분 노력이 헛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라고 밝혔다. 이 글은 13일 오전 11시까지 1500여건이나 리트위트됐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고양시민’이 적은 글을 보면 “박근혜 정부는 국가 주도하에 역사 교과를 국정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 역사학계와 학생, 학교 현장 위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특정 단체의 문제가 아닐 것입니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역사는 공유된 기억입니다. 지금 추진하는 국정화는 한마디로 공유된 기억(역사)을 그들의 입맛대로 재편, 배치하고 국가(자본)의 시각으로 국민을 세뇌시키는 기억파괴 공작입니다”라며 “그들은 공유된 기억을 그들의 사적 영역으로 집중화하고, 시민의 역사 이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는 역사를 독점하려는 행위이며 이 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있습니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지금 국가가 역사 국정교과서를 추진하는 밑바탕에는 국민을 ‘지도의 대상’으로 보는 오만한 시각이 존재합니다”라면서 “우리 시민은 국가의 지도하에 생각이 주입되는 객체가 아닙니다. 그렇게 ‘올바른 역사관’을 운운하는 국가의 주도하에 사사오입이라는 3.15 부정선거, 부마항쟁, 군부독재, 80년대 광주의 학살 등이 일어났음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지금의 역사 국정교과서는 다시 아이들을 역사에서 멀어지게 하는 ‘바보 만들기’의 시도입니다. 이것은 시민의 공유 기억을 지우려는 심각한 침탈행위입니다. 국정교과서는 우리 시민의 표현의 자유, 사상의 자유를 초헌법적으로 파괴하는 도전행위이며 위법행위입니다.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지금 당장 그만두어야 합니다”라고 강조했다.
‘@week_end_’는 <한겨레>에 “12일 오후 6시께 서울 지하철 3호선 화정역 인근에 코트를 입은 중년의 남성이 에이포(A4) 용지에 적은 유인물을 나눠줬다”며 “특히 고등학생들에게 유인물을 나눠주려고 노력하는 모습이었다”고 밝혔다.
이하 글 전문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 사진/트위터 이용자 ‘@week_end_’ 화면 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