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배임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은 정연주 전 한국방송 사장이 케이블·위성채널인 티브이엔 ‘백지연의 피플인사이드’에 출연해 “해임 관련자에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정 전 사장은 최근 녹화에서 “만약 대법원(해고무효 소송)에서 최종적으로 해임을 취소하라는 판결이 나오면 그 해임에 구체적으로 관련했고 개입했던 사람들에 대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티브이엔쪽이 14일 밝혔다.

정 사장은 이어 “그렇게 되면 현 한국방송 체제는 불법체제이기 때문에 그 불법체제에 있는 분들도 자리를 떠나야 하고 제가 다시 원상복귀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광고

정 전 사장은 자신을 한국방송 사장직에서 몰아내고 사법처리하는 과정에서 최 전 방통위원장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지목하고 있어 이번 책임을 추궁하겠다는 발언은 최 방통위원장을 겨냥해 민형사상 법적 책임을 묻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정 전 사장은 과거 “(최시중 위원장이) 방통위원장이 되자마자 다음날 한국방송 이사장을 만났고, 이후 두차례 더 만나 ‘정연주와 한국방송 때문에 정치 못하겠다. 정 사장 문제를 해결하라’고 이야기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후 감사원과 국세청 등 권력기관의 정 사장에 대한 먼지털기가 시작됐다.

광고
광고

지난달 12일 대법원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로 기소된 정 전 사장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정 전 사장은 세금분쟁 도중 법원의 조정에 응해 한국방송에 손해를 입혔다는 이유로 지난 3년간 재판을 받아왔다. 같은 이유로 2008년 강제 해임된 정 전 사장은 해임 무효 소송에서도 1, 2심 모두 승소해 현재 대법원 판결만을 앞두고 있다.

정 전 사장은 지난 3년을 돌아보며 “그 과정을 보면 정치적인 동기와 목적 외에는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검찰이 다른 쪽 자료를 조금만 정성들여 읽고 눈길을 돌렸다면 이건 사건이 될 수가 없는 것”이라면서 “그 많은 자료는 쳐다보지도 않고 딱 한쪽 논리에 매몰돼 그쪽 주장만 했다. 재판이 진행되면서 증인이 나온다든가 자료를 반영하는 것이 처음부터 없었다”고 말했다.

광고

정 전 사장은 또한 이명박 정부들어 언론의 자유가 크게 위축됐다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그는 “언론 자유, 표현의 자유와 관련해 많은 것이 후퇴했다”며 “저는 그냥 하나의 상징일 뿐이고, 저뿐만 아니라 언론 자유 부르짖던 기자들, 프로듀서, 프로그램 진행자들까지 정말 많은 사람이 쫓겨난 것은 참 불행한 일”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부 digitalnew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