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역사 교과서들은 4·19를 어떻게 다루고 있을까.
<한겨레>가 서울 중앙고 3학년 8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이들은 주로 중학교(59명·72.8%)와 고등학교(65명·80.2%) 수업을 통해 4·19에 관한 지식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26명·32%)이나 어른들 얘기(45명·55.5%)의 비율은 예상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10대들의 지식 형성에 역사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는 뜻이다.
현행 국사 교육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국정 교과서인 <국사>를 중심에 놓고 있다. 단, 고등학교 2~3학년은 정부의 교과서 지침에 맞게 출판사들이 자유롭게 저술하는 <한국 근·현대사>(선택과목)가 따로 마련돼 있다.
중학교 <국사>는 소단원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은 왜 일어났는가’에서 4·19를 다룬다. 서술 분량은 1쪽 정도로 이승만 전 대통령의 독재와 3·15 부정선거에 대응해 ‘자유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학생과 시민들이 일으킨 것으로,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지키며 민주주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는 기술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고등학교 <국사>는 <한국 근·현대사>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정부 수립에서 신군부 집권까지를 다룬 ‘대한민국의 성립과 발전’이란 꼭지에서 “국민의 분노가 전국적으로 터지면서 4·19 혁명이 일어났다”는 짧은 언급에 그치고 있다.
그 대신 금성출판사 등 6개 출판사의 <한국 근·현대사>는 소단원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에서 4·19를 평균 11.6쪽에 걸쳐 상세히 다룬다. 이들 교과서는 ‘이승만 정권의 독재화→3·15 부정선거→4·19 혁명→민주당 정권의 등장’ 과정을 사진과 당시에 발표된 글을 첨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금성출판사와 미래엔컬쳐그룹(구 대한교과서)은 4·19를 ‘미완의 혁명’이라고 언급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서울의 고등학교에서 <한국 근·현대사>를 가르치는 한 교사는 “일부 교과서는 그 뒤에 등장한 민주당 정권이 부패하고 4·19를 제대로 계승하지 못했다고 서술해 5·16 쿠데타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학생들이 4·19를 배울 기회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난해 12월, 아직 시행도 안 된 ‘2007년 개정교육과정’을 개정하면서 역사 관련 수업을 대폭 줄였기 때문이다. 2011년 시행 예정이었던 ‘2007 개정교육과정’은 중학교 2~3학년생들에게 전근대 한국사와 세계사를 합친 <역사>, 고등학생들에게는 1학년 때 근현대 한국사와 세계사를 합친 <역사>를 가르칠 계획이었다. 2~3학년 선택과목으로는 <한국 근·현대사>를 폐지하고 <한국 문화사> 등을 마련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계획을 시행해보지도 않고, 1학년 필수과목이던 <역사>를 선택과목 <한국사>로 바꾸고 선택과목 <한국 문화사>는 없애는 내용을 뼈대로 한 ‘2009년 개정교육과정’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고등학교 1학년 때 <한국사>를 선택하지 않는 학생은 중학교 2~3학년 <역사> 외에는 4·19를 배울 기회가 사라진다.
오세운 전국역사교사모임 회장(용산고)은 “중학교 <역사>의 경우, 현대사가 마지막 부분에 있고 <한국사>가 선택이 되면서 4·19 혁명과 같은 민주화 운동을 배울 기회가 적다. 더구나 대학 입시 위주의 수업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민주화 운동의 의미가 제대로 전달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라고 지적했다. 난곡중에서 <국사>를 가르치는 유필조 교사는 “안 그래도 4·19 관련 내용은 교과서 끝에 나오기 때문에 학년말과 겹쳐 잘 가르치지 않았다”며 “지금도 서술이 너무 딱딱하고 짧은데 앞으로는 정말 문제”라고 말했다.
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


![[단독] ‘윤 정부 실세’ 유병호, 감사원장 퇴임식 뒤 “영혼 없는 것들” 고성](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11/53_17628649967246_20251111503928.webp)




![[사설] 외환죄 기소 윤석열, 계엄하려고 전쟁 불사했나](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57/154/imgdb/child/2025/1111/53_17628540140298_20251111503610.webp)






![[단독] 특검, 공흥지구 부담금 축소 시점 ‘양평군수-김건희 일가 면담’ 확인](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57/154/imgdb/child/2025/1111/53_17628419382066_6817622173230274.webp)













![<font color="#00b8b1">[이슈 분석]</font> 항소 포기한 대장동 항소심, 정말 배상 길은 막혔나?](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11/53_17628487776724_20251111503390.webp)




![<font color="#FF4000">[단독] </font>안가회동 이상민의 ‘빨간 파일’…“계엄 대책 보고서 챙겨와”](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11/53_17628368870464_20251111501762.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