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모차르트

1. 모차르트 음악을 들으면 머리가 좋아진다?

1993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의 프랜시스 라우셔 박사 연구팀은 대학생 36명한테 모차르트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D장조’를 10분 동안 들려주자 아이큐(IQ) 테스트 가운데 ‘공간-추론 능력’이 향상됐다는 논문을 과학저널 <네이처>에 발표해 ‘모차르트 효과’ 열풍을 불러왔다. 연구팀은 그 뒤에도 3~4살짜리 아이들한테 매일 10분씩 피아노와 노래를 가르친 뒤 4개의 조각을 맞춰 낙타 모양을 만들도록 하자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보다 학습능력이 34%가 향상됐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미국 애팔래치안주립대학의 케네스 스틸 박사 연구팀은 12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라우셔 팀과 똑같은 실험을 했지만 전혀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학술지 <심리과학>에 발표했다.

광고

다만, 캐나다에서는 9살 아이들한테 피아노를 3년 동안 가르친 뒤 언어·공간 능력을 테스트한 결과 그러지 않은 아이들보다 언어와 공간 능력이 크게 향상됐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또다른 연구에서는 60~85살의 노년층이 피아노 교습을 받은 뒤 암기 능력이 높아진 결과를 얻었다.

광고
광고
2. 음악을 들으면 공부가 잘된다?

2010년 영국 웨일스대의 닉 퍼햄과 조앤 비자드 교수 연구팀은 18~30살의 성인 25명한테 좋아하는 음악과 싫어하는 음악, 숫자 3만 되뇌는 목소리, 1~9의 임의의 숫자를 반복하는 목소리를 들려주거나 조용한 상태에서 문자를 순서대로 외우게 하는 실험을 했다. 결과는 같은 숫자를 되뇌는 목소리를 들을 때와 조용할 때 가장 잘 외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익숙하고 편안한 음악을 무의식 상태에서 들으면 일정한 리듬이 우리 뇌로 하여금 정보의 입력과 휴지를 적절하게 반복할 수 있도록 도와줘 기억력 향상에 보탬이 될 가능성이 있다.

광고
3. 언어는 왼쪽, 음악은 오른쪽 뇌가 받아들인다?

언어와 음악은 소리가 매개체이고 의미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정보를 안에 담고 있고 사람을 조작(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보면 음악엔 오른쪽 뇌, 언어엔 왼쪽 뇌가 반응하는 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이 과정은 쌍방향적이다. 음악이 들어오면 양쪽 뇌에서 신호가 왔다갔다하다 오른쪽에서 최종적으로 해석을 한다. 반대로 언어의 경우 말의 높낮이, 리듬, 빠르기 등 비언어적 요인은 오른쪽 뇌가 해석해 왼쪽 뇌에 전달해주는 식이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