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3일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대표가 탈당을 공식선언한 데 대해 “내년 20대 총선을 겨냥한 야권 단일화를 위한 정치적 제스처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현안 브리핑을 통해 “새정치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와 문재인 현 대표의 입장이 무엇이든간에 왜 하필이면 선거를 앞두고 이렇게 갈등을 노골화하느냐”라며 이렇게 말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2012년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보다 지지율이 높던 안철수 후보가 문 후보에게 대통령 후보직을 내줬던 과정을 기억하고 있다”며 “대선을 앞두고 이전투구를 일삼다가 서로 앙금을 남긴 채 외관상으로 단일화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야당이 국회활동을 등한시하면서 오직 선거만을 위해 이합집산을 거듭한다면 결코 국민의 사랑을 받기를 어려울 것”이라며 “이합집산만 하는 야당이 아닌, 건전하고 건강한 야당의 모습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새누리당은 안철수 전 대표의 탈당이 총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안 전 대표의 탈당으로 인한 야권분열이 새누리당에는 특히 수도권에서는 표면상 호재 중의 호재가 확실하나, 혹 총선을 앞두고 ‘반새누리 야권연대’ 분위기가 대두되면서 자칫 협공을 당하는 상황이 오지나 않을까 우려하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선거 구도상 지금은 여당이 유리해 보이지만 내년 3월께 야권이 다시 합칠지 어떻게 알겠느냐”며 “선거는 절대 방심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여당이 우려하는 시나리오는 여러가지다. 현실적으로 높아 보이지 않는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전 대표의 선거연대 가능성 외에도 안 전 대표가 새정치연합 손학규 전 상임고문과 손을 맞잡는 상황, 그리고 공천 잡음 과정에서 새누리당 일부 인사들이 안 전 대표 쪽으로 이탈하는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다. 이 경우, 해당 지역구에서 사실상 여권 표가 나뉘어지는 현상도 나타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철수 탈당’이 결선투표 도입 등 새누리당의 공천 룰 경쟁에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재 친박계는 1위 후보가 50% 이상을 득표하지 못하면 결선투표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비박계는 1·2위가 오차범위일 때에만 하는 게 전제돼야만 결선투표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맞서고 있다.
이와 함께 여당은 안 의원의 탈당이 총선에 미칠 영향보다도 당장 ‘겨울국회’가 완전히 정지상태가 되는 게 아니냐고 우려했다. 또 오는 15일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지만 선거구 획정 기준을 둘러싼 여야지도부간 협상도 야권 분열로 인해 성과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 됐다. 청와대가 처리를 촉구하는 경제활성화법 2개(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기업활력제고특별법)와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 관련 협상을 벌이기도 여의치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 여당에서 나오고 있다.
디지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