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4일 "올해에는 남북관계에도 새로운 전기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신년 국정연설을 통해 3대 국정운영 기조와 5대 핵심과제를 밝히면서 "남과 북 사이에 상시적인 대화를 위한 기구가 마련돼야 한다. 북한도 진정으로 마음을 열고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서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조속히 6자회담에 복귀하기를 촉구한다. 그리하여 한반도 비핵화가 진전되고 본격적인 남북협력의 물꼬가 트이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또 "올해는 6.25 60주년이 되는 해"라면서 "북한과 대화를 통해 북한에 묻혀 있는 국군용사들의 유해발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언급은 북한이 지난 1일 신년 공동사설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밝히고,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인 조선신보가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언급한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은 연설후 춘추관을 방문, 출입기자들과 만나 "(남북이) 서로 욕 안하는 것만 해도 오래간만이다. 긍정적 변화의 일부분이라고 봐야 한다"면서 남북대화 상시기구 제안에 대해서는 지난 2008년 4월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던 서울과 평양의 상설 고위급 연락사무소 설치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이 북한에서 개최될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는 "콘텐츠가 문제이지, 나머지는 협상하기에 따른 것"이라며 "남북정상회담은 늘 우리쪽에서 목이 매여 하던 상황에서 바뀌었느니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특히 이날 신년연설에서 3대 국정운영기조로 ▲글로벌 외교 강화 ▲경제활력 제고 및 선진화 개혁 ▲친서민 중도실용 정책 기조를 내세웠고, 5대 핵심과제로는 ▲경제회생 ▲교육 개혁 ▲지역발전 ▲정치 선진화 개혁 ▲전방위 외교를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우선 '더 큰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5대양 6대주 모든 나라들과 전방위 외교를 펼치겠다면서 "새해에는 한.중.일 관계를 더욱 긴밀히 하고 신(新) 아시아 외교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면서 "특별히 아프리카 외교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제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ODA(공적개발원조)를 늘리고 PKO(유엔평화유지군) 참여를 확대하겠다"면서 "아프가니스탄 평화유지활동에도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정치의 선진화 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우리의 소중한 자유를 지키는 토대인 법질서를 확립하고 선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행정구역 개편은 이미 일정에 오른 만큼 자율통합에 나선 자치단체는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배타적 지역주의를 완화하고 대결정치를 극복하기 위한 선거제도 개혁도 반드시 올해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역설했다.
또 교육개혁 문제를 직접 챙기겠다고 밝힌 뒤 "새해에는 교육개혁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국민들에게 믿음이 가는 교육개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도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는 환경을 꼭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경제회생과 관련해선 "2010년 이명박 정부의 첫번째 국정과제는 누가 뭐라 해도 경제를 살리는 것이었고 그 핵심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라며 "상반기에는 비상경제체제를 끝내고 하반기에는 서민들도 경제회복의 온기를 체감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지역발전에 대해서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은 지역의 일자리와 소득 창출을 위한 획기적 전기가 될 수 있도록 지역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반영해나가겠다"며 "혁신도시, 기업도시, 경제자유구역 등이 조기에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재정지원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기후변화에 선제적이고 근원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녹색산업 강국을 겨냥한 우리의 발전 전략이기도 하다. 원전 수출은 그 하나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