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초당적 실용외교 차원에서 민주당 소속인 정장선 국회 지식경제위원장에게 몽골 특사를 제안했던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이 대통령이 야당 의원에게 특사를 제안한 것은 현정부 들어 처음으로, 이 같은 탕평정책은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유럽순회 특사 임명과 맞물려 주목된다.
정 의원은 1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청와대로부터 지난 6월 몽골 대통령 취임식 때 특사로 가면 어떻겠느냐는 제안을 공식적으로 받았지만 지도부 입장도 있고 해서 못간다고 통보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당시 맹형규 청와대 정무수석으로부터 이 대통령의 제안을 받고 고민했으나 당 지도부가 여야 대치 상황 등을 들어 반대하면서 정중하게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관계자는 "야당 의원이 대통령 특사로 외국에 나간 전례가 없고 정치적 오해를 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약 두달 전 이 대통령 지시를 받고 정무라인을 통해 정 의원에게 특사를 제안했었다"며 "이 대통령이 화합과 통합, 실용외교를 강조하는 그런 취지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한국-몽골 친선협회장을 맡고 있는 의회내 대표적인 `몽골통(通)'으로, 지난달에도 몽골을 방문해 정계 지도자들과 자원개발 등을 협의했다.
청와대 한 참모는 "이 대통령의 뜻은 여야를 막론하고 어떤 지역이나 국가에 인연이나 전문성이 있으면 특사를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지금까지는 정 의원밖에 없었지만 앞으로 민주당 뿐만 아니라 다른 야당 의원들에게도 제안할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개각에서도 정치인 입각 방침이 정해질 경우 여당내 계파를 초월한 기용은 물론 야권 인사들도 검토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1월 당선인 자격으로 한나라당 이상득, 박근혜, 정몽준 의원과 이재오 전 의원 등을 각각 일본, 중국, 미국, 러시아 특사로 파견한 데 이어 올들어서도 20여명의 한나라당 의원을 외교사절로 보낸 바 있다.
특히 지난 5월 친박계 허태열 의원과 친이계 조해진 의원을 태국으로 함께 보내는 등 특사 임명을 당내 화합책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이승관 노재현 기자 humane@yna.co.kr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