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일을 정부기념일로 제정한 뜻은 그 정신을 기려 정의로운 민주국가를 건설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역대 정권이 그 진정성이 구현되도록 실효적인 행사를 하였는지 묻고 싶다. 4·19혁명을 좌절시킨 5·16 쿠데타로 들어선 군사정권이 왜곡한 4·19혁명 정신을 문민정부가 복권했지만, 군사문화의 그늘은 여전하다. 진실로 바라건대 4·19 당일만이라도 온 국민이 경건하게 4·19혁명의 의의를 생각하고 영령들을 추모하는 날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올해는 4·19혁명 50돌을 맞는데도 우리 청소년들은 4·19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한다. 그 책임을 정부는 학교와 부모에 있다 할 것인가? 역대 정부가 국가의 정통성에 대한 국민교육을 소홀히 한 것을 심각하게 반성해야 한다.
헌법 전문에 4·19혁명정신을 담고서도 오랜 군사독재는 정통성 교육을 마비시켰다. 군사정권은 인의와 윤리를 외면하고 독선과 물리력으로 32년을 지배하면서 4·19혁명을 왜곡하고 국민주권을 농락해오다 역사의 단죄를 받았다.
올해는 4·19혁명 50돌을 맞아 국민의 주목을 받을 만하지만, 언론보도는 잠잠하기만 하다. 20일 장애인의 날, 21일 과학의 날, 22일 정보통신의 날이 이어지면서 역사적인 4·19혁명이 일반 기념일에 묻히고 만다. 시민혁명에 대한 국민의 의식과 느낌이 심중에 머무를 새 없이 다른 기념일 행사로 흩어져 버린다.
4·19혁명은 자유 민주 정의를 쟁취한 주권자혁명이면서 민본의 보편적 가치와 민족자강을 추구한 민족혁명이다. 4·19혁명은 영구집권을 노리는 독재자의 부정선거에서 비롯됐다. 처음에는 야당(민주당)이 부정선거를 규탄한 항거를 주도하였으나 중심이 시민 학생들로 옮겨지면서 경찰 총격으로 희생자가 속출하자 전 국민이 궐기하고 교수들이 결단하여 독재자가 굴복한 민권승리의 혁명이다. 어떠한 세력도 4·19혁명을 부정하거나 특정 논리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 5·16세력과 군사정권은 4·19혁명을 왜곡하고 자기들의 논리로 도색하려 했으나 역사가 허용하지 않았다.
4·19혁명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 4·19혁명 기념일은 국경일로 제정하여야 한다. 4·19혁명의 역사적 교훈을 승화시켜야 한다. 4·19 혁명 50돌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전기가 되었으면 한다.
조계현 4·19민주혁명회 자문위원
[발언대] 4·19혁명 50돌, 그 정신을 가리지 마라 / 조계현
- 수정 2010-04-18 19:16
- 등록 2010-04-18 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