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사이비 과학자에서 혁명의 길라잡이까지, 프란츠 메스머의 네 가지 얼굴.

①파리에 와 치료센터를 차렸다. 치료 과정에 최면요법을 도입. 최면술의 선구자로 기억된다. 영어로 메스머리즘(mesmerism)은 최면술, 메스머라이징(mesmerizing)은 혼을 빼놓는다는 말.

②보이지 않는 힘을 이용해 병을 치료하고 멀리 떨어진 사람과 대화한다던 메스머. 사혈과 관장에 의존하던 당시 의학의 수준을 고려해도 지나친 주장이었다. 1784년에 검증위원회를 꾸린 프랑스 과학자들. 사이비 과학이라 결론 내렸다.(놀랍지 않다.)

광고

③지지자들은 기득권층이 메스머를 박해한다며 분노했다. 때는 프랑스대혁명이 무르익던 시절. 메스머 운동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전개된다.

④역사가 로버트 단턴은 <혁명 전야의 최면술사>라는 책에서, 기성 체제에 적개심을 드러낸 메스머 지지자들이 1789년 프랑스대혁명의 논객으로 활약하게 되는 과정을 추적. 정작 메스머 본인은 그런 데 관심 없었다. 더 많은 돈을 찾아 독일로. 1815년 3월5일에 세상을 떴다.

김태권 만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