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부의 쿠데타를 받아들이지 말고 모두가 저항하기를 호소한다.”
지난 1일(현지시각) 군부에 의해 구금된 미얀마 지도자 아웅산 수치가 국민들에게 했다는 당부의 발언을 놓고 진위 의혹이 일고 있다. 일부 미얀마 인들이 이 발언이 진짜인지 의심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미얀마에 사는 한 교민이 국내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수치가 했다는 발언이) 제가 알기로는 가짜 뉴스로 밝혀졌다”고 말해 확산됐다.
그러나 여러 정황을 볼 때, 해당 발언은 수치가 한 말이 맞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비비시>(BBC) 등 미얀마에 주재하는 국외 언론들도 수치의 발언을 부정하지 않고 있다.
진위 확인 전에 우선 이 발언이 어떻게 나오게 됐는지를 살펴보자. 이 발언은 쿠데타가 발생한 지난 1일 오후 수치가 이끄는 당인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의장의 페이스북에 올라왔다. 수치는 이 당의 의장을 맡고 있다. 곧 수치의 공식 계정을 통해, 미얀마 글자로 쓴 문서 사진 한장이 올라왔고, 여기에 “쿠데타에 저항하라”는 수치의 발언이 담겼다.
의심이 이는 대목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문서의 글이 수치의 자필로 쓰이지 않았고, 수치의 서명도 없다. 둘째, 발언 시점이 쿠데타 발생 전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글 내용이 평소 수치가 얘기하는 바와 다소 다르다.
우선 첫째 지적은 반증하기 어렵다. 이 문서는 실제 수치가 직접 쓰지 않았고, 수치의 말을 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글의 서두에는 전반적인 최근 상황이 담겼고, 후반부에 수치가 했다는 다섯 문장이 등장한다. “쿠데타에 저항하라”는 표현은 이 다섯 문장 가운데 하나다. 수치가 직접 쓰지 않았으니, 서명도 등장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 문서의 공신력은 무엇으로 보증될까. 이런 논란을 우려해서인지, 문서의 맨 마지막 부분에는 “이 글은 수치가 직접 한 발언이라는 것을 목숨 바쳐 맹세한다. 윈 테인”이라는 손글씨가 덧붙었다. 파랑 펜으로 두 줄에 걸쳐 윈 테인이 직접 쓴 문장이다. 윈 테인은 수치의 동료로 민주주의민족동맹의 고위 간부로 활동했다. 2015년에는 이 당의 대선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가 직접 수치의 발언을 들어 당 공식 누리집에 올린 것이다. 한국에서 활동 중인 미얀마 인권활동가 소모뚜는 <한겨레>와 통화에서 “우선 윈 테인이 직접 쓴 글이 증거다. 그는 민주주의민족동맹의 원로다”라며 “우리도 따로 미얀마 현지 유력 인사에게 확인했다. 수치의 발언은 그가 직접 한 발언이 맞다”고 말했다.

둘째 지적은 반박하기 어렵지 않다. 수치의 발언은 실제 쿠데타가 발생하기 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 총선에서 수치가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이 압승을 거둔 뒤, 군부는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고 지난달 말부터는 공공연하게 쿠데타 뜻을 내비쳤다. 지난달 26일 군 대변인이 “군부가 정권을 잡을 것이라고 말하는 건 아니지만, 정권을 잡지 않을 것이라고도 역시 말하지 않는다”고 말할 정도였다. 쿠데타가 의심되는 상황에서 수치가 미리 당 동료에게 이런 발언을 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문건에 26일 군 대변인의 쿠데타 암시 발언이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지난달 27~30일 사이에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지적은 “저항하라”는 표현에서 비롯된다. 페이스북의 해당 문건에는 수만 개의 댓글이 달렸는데, “수치는 이런 식으로 글을 쓰지 않는다. 국민의 생명을 살리는 글을 쓴다”, “군부가 올린 것일 수 있다”는 내용 등이 적지 않다. 1988년부터 민주화 운동을 시작해 30여 년 동안 비폭력 민주화 운동을 이끈 수치가 국민들을 위험에 몰아넣는 듯한 발언을 할 리 없다는 믿음이 깔렸다. 다른 한편으로는 군부가 쿠데타에 대한 폭력적 저항을 유도하기 위해 쓴 가짜 글일 수 있다는 의심이다.
이에 대해 미얀마 인권활동가 소모뚜는 “수치의 ‘저항하라’는 말은 길거리에 나와 폭력적으로 저항하라는 뜻이 아니다”라며 “미얀마인들은 수십 년 동안 민주화 투쟁을 거치면서 군부와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 잘 안다. 지금 군부는 시민들이 거리에 나와 시끄러워지기를 바랄 텐데, 지금은 그럴 단계가 아니다. 우리는 소셜미디어 소통과 파업 등을 통해 싸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