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중개인들이 현황판을 보고 있다. 미국 다우존스지수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연이틀 급락했다. 뉴욕/AFP 연합뉴스
11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중개인들이 현황판을 보고 있다. 미국 다우존스지수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연이틀 급락했다. 뉴욕/AFP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다음달 말 아르헨티나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11일 보도했다. 다만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미-중 갈등에 외교안보·군사 분야까지 악재가 켜켜이 쌓여 있는 상황이어서 정상회담만으로 돌파구가 마련될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이번 정상회담 개최는 미국의 대중 협상파와 중국 정부의 ‘합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 신문은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 래리 커들로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등 온건파가 무역전쟁 피해가 확산하기 전에 이를 끝내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중국도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같은 대중 강경파의 입김을 우회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대면 회동을 희망해왔다. <월스트리트 저널>도 이날 백악관이 미-중 정상회담 개최를 결정했으며, 이를 중국 쪽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이에 맞춰 미국 재무부도 다음주 초 발표할 환율보고서에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고 관찰대상국으로 유지하기로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환율조작국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점이 가장 큰 이유지만,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목적도 있어 보인다.

광고

양국이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하는 것은 무역전쟁 장기화 우려가 확산하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미국 증시 3대 지수는 10일 3~4% 급락한 데 이어 11일에도 2% 안팎 떨어졌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미-중 무역갈등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12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공개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미-중이 서로한테 부과했거나 논의 중인 보복관세가 모두 적용될 경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첫 2년간 최대 1.6%, 미국은 거의 1.0%의 손실을 볼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중국의 지난 9월 대미 무역흑자는 341억3천만달러(약 38조6천억원)로 사상 최대를 기록해, 애초 기대했던 미국의 관세 정책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광고
광고

정상회담 성과를 낙관하기는 쉽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일 <폭스 뉴스> 인터뷰에서 자신의 ‘관세 폭탄’ 정책과 관련해 “내가 하고자 한다면 (중국에) 할 게 많다”며 여전히 비타협적 태도를 보였다. 이는 중국의 협상 전략을 경직시킬 공산이 크다.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연구센터의 중국 전문가인 스콧 케네디는 “사태 전개의 방향을 고려할 때 (미-중 정상회담의) 조짐이 좋을 것 같지는 않다”며 “출혈을 멈출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내 대중 강경파의 반격도 예상할 수 있다.

첨단기술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창과 방패’ 싸움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이 이날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이유로 민간 핵기술의 대중 수출을 강력히 통제하기로 했다고 미국 언론들이 전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