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더 버시바우(사진) 전 주한 미국대사가 지난 9월 퇴임 뒤 첫 공개강연에서 ‘외교관으로서는 말할 수 없었던’ 비화와 한-미 관계에 대한 견해를 거침없이 밝혔다.

버시바우 전 대사는 5일 워싱턴의 한미경제연구소(KEI) 강연에서 “2005년 11월 경주 한-미 정상회담은 아마 최악이었을 것”이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방코델타아시아(BDA) 대북한 금융제재에 대해 1시간 이상 논쟁을 벌였다”고 소개했다.

그는 “국방 분야와 한-미 동맹 현안에 대해 노 전 대통령이 대부분 ‘잘못된 이유’로 정책을 결정했지만, 결과적으로 옳은 결정이었다”는 발언까지 했다. 노 대통령의 이라크 파병은 미국의 대북정책 유연화를 유도하려 한 것이고, 전시작전 통제권 환수는 주권회복 차원에서 추진했던 것이어서 미국 쪽 생각과는 동떨어졌으나, 결과만 보면 미국 쪽 이해관계와 일치했다는 것이다.

광고

버시바우 전 대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조속히 비준하려면 한국이 유연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며 “양쪽이 재협상이란 용어를 피하려 하지만, 비관세장벽과 관련한 추가 협의나 보완 조처를 하는 게 의회 비준의 유일한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올해 한국의 쇠고기 촛불시위에 대해서는 “30년이 넘는 외교관 생활에서 가장 당황스럽고 좌절을 느낀 순간”이었다며 “당시 아내와 나는 집 밖으로 나가기 어려운 가택연금 상태나 다름없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또 “이명박 정부와 오바마 차기 행정부 사이에 (대북 문제에 대한) 차이가 없을 것이며, 노무현·김대중 정부 아래서는 찾아볼 수 없는 정책공조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과거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드러냈다.

워싱턴/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