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지 및 임야 대장이나 등기부등본 등 공적 장부에 남아있는 일본식 이름 5만6천여건에 대한 정비가 이뤄진다.
28일 국토교통부는 조달청, 지자체 등과 함께 이같은 내용의 ‘공적 장부 일본 이름 지우기’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정비되는 대상은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각 지자체가 옛 토지·임야 대장의 창씨개명 기록 및 제적등본, 등기부등본 등을 조사한 88만 필지 가운데 선정된 5만6079필지다.
창씨개명을 해 한글이름으로 복귀가 되는 사례가 4만5735필지로 대다수를 차지한다. 일본식 이름 죽촌상덕(竹村相德)에서 한글이름 이덕재(李德才)로 바뀌는 게 대표적이다. 나머지는 창씨개명한 기록만 있고 토지대장이 없는 등 공부 정비가 필요한 사례 등이다.
광고
창씨개명한 이름이 남아있는 사례가 가장 많은 지자체는 전남(1만5643필지)이었고, 경북(8460필지), 경남(7041필지), 전북(6259필지) 순이었다. 서울은 17필지로 관련 정비 대상이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단독] ‘김건희 5400만원 시계’ 엮인 로봇개, 윤 당선자 시절부터 비공개 시연](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57/154/imgdb/child/2025/1103/53_17621544194276_9517621544008482.webp)








![[단독] 런베뮤 직원 “사람 아닌 매장 빛내줄 오브제였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57/154/imgdb/child/2025/1031/53_17618949810923_20251031502407.webp)




![<font color="#FF4000">[단독] </font>‘김건희 5400만원 시계’ 엮인 로봇개, 윤 당선자 시절부터 비공개 시연](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child/2025/1103/53_17621544194276_9517621544008482.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