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평창겨울올림픽을 유치했을 때 계획한 대회 총예산은 8조8196억원이다. 그러나 2013년 5월 국회에서 승인된 올림픽 예산은 시설 부문 11조879억원, 조직위원회 운영 부문 2조540억원으로 총 13조1419억원에 이르렀다. 이후 세 차례의 예산안 변경을 거쳐 올해 1월 국회에서 승인받은 예산은 13조4851억원이 됐다. 유치 당시보다 제2영동고속도로와 동홍천~양양 고속도로 등 주로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늘었고, 최근 논란이 된 스노보드와 스키점프 경기장의 공사비 증가액은 포함되지 않았다. 아직 더 늘어날 금액이 남아 있다는 의미다.
예상보다 비용이 급증하는 경우는 올림픽만이 아니다. 국회 사무처가 2012년에 발간한 ‘국제경기대회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서’ 자료를 보면, 2014 인천아시안게임의 총사업비는 최초 1조6110억원에서 최종 2조2250억원으로 늘었다. 2015 광주유니버시아드대회 역시 애초 2811억원에서 8171억원으로 3배가량 치솟았다.
평창은 과거 대회와 유사한 전철을 밟고 있다. 205억원의 예산이 잡혀 있던 보광 스노보드 경기장의 경우 국제스키연맹(FIS)의 요구에 따라 공사 규모를 늘려 필요 예산이 790억원으로 4배 가까이 늘어났다. 스키점프 경기장도 안전 문제로 인해 80억원 이상의 추가비용이 들어갈 예정이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경기단체의 요구에 따라 공사비가 늘어날 수 있다. 개최 비용은 늘어나는 반면, 신설 경기장의 사후활용 방안은 여전히 해답이 없다. 경기장 시설은 대회 뒤 지방자치단체에 재정부담이 되기 때문에 사후활용 방안은 매우 중요하다.
강원도 지역에 남겨질 빙상장 4곳과 가리왕산 알파인 경기장, 슬라이딩센터, 개·폐회식장 등 올림픽 경기장의 사후 유지비용은 매년 총 210억4900만원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2012년도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보고서-2018 평창동계올림픽 대회시설’ 보고서가 적용한 연면적당 사업비 기준을 적용했다. 보고서가 작성됐을 당시보다 경기장 면적이 늘어나서, 이를 반영해 직접 계산했다. 보고서는 강릉에 위치할 각종 빙상장의 경우 강원권을 대상으로 한 수요가 연간 3만7421명이 되고, 1인당 객단가 1만5000원을 적용해 연간 5억6100만원의 운영 수익이 발생한다고 예측했다. 이런 식으로 슬라이딩센터 등 다른 경기장의 수익을 추정한 결과 연간 총 46억원에 불과해 매년 165억원가량의 적자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강릉에 빙상장 4곳이 밀집돼 있어 실제 운영 수익은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거듭되는 사후활용 방안 마련 요구에도 불구하고 대책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대책이 없기 때문이다. 강원도청 관계자는 “언론에서 계속 비판을 하는데도 지금까지 사후활용 방안이 안 나왔다는 것은 방안이 정말로 없다는 것”이라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허승 기자 raison@hani.co.kr
예산안 애초보다 4조 늘어 13조…전문가들 “앞으로 더 늘어날 것”
[심층리포트]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 늦지 않았다 (하)
사후 활용방안은 아직도 안 나와
기자허승
- 수정 2019-10-19 11:23
- 등록 2015-03-09 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