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단독] 제2롯데월드 이번엔 엘리베이터 2번 멈춰

등록 2014-11-05 01:25수정 2014-11-05 20:14

한번은 직원·한번은 승객 ‘아찔’
직원, 폐쇄증 호소 병원 치료도
롯데, 2번째때는 사고 사실도 몰라
8층 천장엔 또 균열 흔적
개장 뒤 크고 작은 안전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서울 잠실 제2롯데월드에서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멈춰서는 사고가 잇따라 일어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롯데 쪽은 기계 오작동이 아닌 직원들의 실수라고 해명하거나, 아예 사고가 있었다는 것조차 모르고 있었다.

지난달 31일 밤 9시15분 제2롯데월드 에비뉴엘동 사람·화물 겸용 53인승 엘리베이터가 7~8층 사이에서 갑자기 멈춰섰다. 이와 관련해 롯데 쪽은 4일 “7층에서 탑승한 직원 35명이 8층으로 올라가던 중 면세점 입출고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안전센서가 작동해 멈췄다. 관리자가 인터폰을 통해 화물을 재배치한 뒤 정상작동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엘리베이터가 15분 가까이 멈춰 있는 동안 직원 한 명이 폐쇄증을 호소했고, 결국 119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차에 실려 근처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 직원은 새벽까지 쉬다가 귀가했다고 롯데는 설명했다.

2일에도 에비뉴엘동 엘리베이터가 4분50초간 갑자기 멈추는 일이 일어났다. 이아무개(28)씨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오후 5시께 6층 ‘러버덕’ 홍보관을 구경하고 친구 5명과 함께 엘리베이터를 탔다. 3층쯤에서 갑자기 층수를 안내하는 숫자가 꺼지더니 ‘관리자와 연결하라’는 기계음이 나왔다. 버튼을 눌러 관리자와 연결됐는데 고장이 났다는 말에도 ‘아, 그러냐’고 담담하게 말해 매우 화가 났다”고 했다.

이씨는 “엘리베이터가 쿵쿵거리고 흔들려서 벽에 최대한 붙어 손잡이를 잡고 기다렸다. 10분 넘게 그러고 있는데 갑자기 엘리베이터가 다시 작동하더니 3층에서 문이 열렸다”고 했다. 롯데 쪽은 애초 “운영실, 소방안전실 등 다 확인했는데 그런 신고가 접수된 게 없다고 한다”고 강하게 부인했다. 하지만 당시 운영실 직원은 “신고를 받고 해당 엘리베이터를 한 차례 점검했다. 큰 사고가 아니어서 보고는 따로 하지 않았다”고 했다. 5일 롯데 쪽은 “씨씨티비로 보니 엘리베이터 문에 이상이 있을 때 작동하는 카도어 센서가 반응해 자동으로 멈춘 것을 확인했다”고 했다.

천장 균열 논란도 벌어졌다. 최근 에비뉴엘동 8층 천장에 달린 철골구조물(에이치빔) 이음매 부분에 균열로 보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롯데는 “에이치빔에 화재 상황에서 3시간까지 버틸 수 있는 단열재를 덧붙였는데, 판과 판 사이의 페인트가 벗겨진 것이지 균열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를 시공한 인슐레이션코리아 김성배 본부장은 “별것 아니다. 에비뉴엘동과 쇼핑몰을 연결하는 5층 실내 다리에도 같은 시공을 했는데 거기도 이음매 부분이 갈라진 것처럼 보인다”고 했다. 구조에는 문제가 없고 마감재 처리가 다소 미흡했다는 해명이다.

앞서 롯데는 쇼핑몰동 6층 식당가 바닥 균열 논란에 대해서도 ‘오래된 건물처럼 보이려는 의도적인 공법’이었다고 해명한 바 있다. 지난달 29일에는 롯데건설 협력업체 직원이 2층에서 떨어진 인테리어 금속 부품에 맞아 이마가 찢어지는 부상을 입기도 했다. 롯데 쪽은 “정확한 원인파악을 위해 담당 엘리베이터 업체에 정밀조사를 신청했고 이러한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협박·유혹에도 진리와 자유 위해 날았던 ‘고독한 독수리’” 1.

“협박·유혹에도 진리와 자유 위해 날았던 ‘고독한 독수리’”

“전두환 일가 55억 오산 땅 추징 가능”…그래도 미납액 867억 2.

“전두환 일가 55억 오산 땅 추징 가능”…그래도 미납액 867억

“내 나이 팔십다섰, 빈 병 모아 십원도 안 쓰고…” 30만원 기부 3.

“내 나이 팔십다섰, 빈 병 모아 십원도 안 쓰고…” 30만원 기부

12월 최고기온 ‘극값’ 경신 지역 속출…내일도 봄 같은 겨울 4.

12월 최고기온 ‘극값’ 경신 지역 속출…내일도 봄 같은 겨울

‘1% 천연림’ 늙었다고 벤 산림청…눈이 한쪽만 쌓인 이상한 숲 5.

‘1% 천연림’ 늙었다고 벤 산림청…눈이 한쪽만 쌓인 이상한 숲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