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학기에 1학년 300여명을 대상으로 정서·행동 특성 검사를 해보니 우울지수가 높게 나타난 아이들이 30~40명이나 됐어요. 수행평가를 준비하려면 심지어 줄넘기까지 과외를 받아야 하니 여가활동을 즐길 시간은 없고, 결국 속으로 곪는 거죠.”
4일 경남의 한 중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전한 학교 현실처럼, 한국에서 자라는 많은 아이들은 행복하지 않다. 숙제나 시험 등 학업에 따른 스트레스는 많은 반면, 친구를 만나거나 취미생활을 즐길 여유는 상대적으로 적은 탓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2013 한국 아동 종합실태조사’ 결과를 내고 한국 아동의 ‘삶의 만족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국 아동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삶의 질은 60.3점(100점 만점)으로 오이시디 국가 중 최하위로 나타났다. 루마니아(76.6점)와 폴란드(79.7점) 등이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삶의 질이 떨어지는 주된 원인은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다. 아동 스트레스 수치는 5년 전 조사(2008년 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 때보다 높아졌다. 9~11살 아동의 스트레스 수치(1.82→2.02)와 12~17살 아동의 수치(2.14→2.16) 모두 높아지는 추세다.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1점에, 많을수록 4점에 가까워진다. 숙제와 시험, 성적 등 학업에 따른 압박감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삶의 만족도가 내려가는 만큼 ‘아동 결핍지수’는 올라간다. 서울 강남의 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윤민구(가명·12)군은 지난달 반 대항 축구시합 대표선수로 뽑혔다. 시합을 앞두고 친구들과 호흡을 맞추던 아들한테 윤군의 엄마는 ‘훈련 및 출전 금지’를 명령했다. ‘쓸데없는 짓 하다가 다치면 안 된다’는 게 엄마의 말이었다. 윤군은 “영어와 수학, 논술, 태권도 등 모두 4개 학원을 다녀야 하니 시간이 없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취미활동이나 친구와의 교류 등이 부족할 때 느끼는 아동 결핍지수는 한국이 54.8%로 역시 오이시디 나라 가운데 가장 높았다. 결핍을 느끼는 대상을 항목별로 살피니, 음악이나 스포츠 등 정기적 취미활동을 하지 못해 부족감을 느낀다는 응답(52.8%)이 가장 많았다.
이번 2013 한국 아동 종합실태조사는 빈곤가구 1499가구를 비롯해 18살 미만의 아동을 양육하는 4007가구를 대상으로 했다. 송준헌 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장은 “유엔 아동권리위원회가 2011년 경쟁으로 내모는 한국의 교육을 개선하라고 권고한 바 있는데 이번 조사를 계기로 아동의 ‘학업과 여가의 불균형’ 문제를 중요 의제로 삼겠다”고 말했다.
박수지 최성진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