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재잘거리는 웃음소리, 신나게 뛰놀았을 운동장, 운동회라도 열리면 마을 축제의 장이 됐을 경남 남해군 창선면의 북창선초등학교. 1963년 서창선국민학교 북창선분교장으로 문을 연 학교는 학생 수의 감소로 1999년 폐교했다. 문 닫은 학교 운동장에 땅거미가 지고 어둠이 내려앉자 하나둘 불 밝힌 텐트를 이순신 장군 동상만이 내려다보고 있다. 한낮의 더위가 한풀 꺾이고 후박·동백·목련나무 아래에 자리를 잡은 가족들은 이야기꽃을 피우며 저녁을 먹는다. 캠핑장으로 탈바꿈된 뒤 학교 운동장과 교실은 사람들의 온기로 다시 채워졌다.
인구 소멸로 폐교의 증가세가 가파른 가운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폐교를 캠핑장 등 다양한 문화시설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만 6~21살 학령인구는 2014년 918만1천명이었지만, 2023년 725만9천명으로 10년 사이 190여만명이 줄었다. 올해 졸업생이 없던 초등학교는 89곳에 달했다. 이처럼 학령인구가 줄어 폐교가 늘어나자 각 지자체는 다양한 폐교 활용법을 내놓고 있다. 주로 캠핑장, 수련원 등으로 변모했다 최근에는 한국어학교, 버려진 고양이 보호소, 청년창업공간 등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전국의 폐교는 3922곳으로 이 중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폐교는 358곳이다. 지자체들이 폐교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폐교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이들 학교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일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이 떠나간 빈 운동장을 지키던 이순신 장군 동상이 새 역할을 찾아 켜켜이 묵은 때를 벗기를 기대해본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