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에 있는 디멘시아도서관은 치매 특화 도서관이다. 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치매의 역사와 예방, 치료, 재활, 돌봄, 정책, 문학에 대한 책을 한데 모은 곳이다. 의정부 미술도서관은 미술, 건축, 디자인 등 예술서적 1만여권을 소장하고 예술가들을 위한 스튜디오까지 갖추고 있는 특화 도서관이다. 판교어린이도서관은 정보기술(IT)의 메카인 판교답게 로봇체험관을 갖추고 있다. 이곳에서는 말하는 로봇, 책 읽어주는 로봇을 만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코스터, 잠수함, 공룡 등의 가상 체험과 드론 체험도 가능하다. 파주중앙도서관은 군사분계선을 맞대고 있는 지역의 특성에 걸맞게 비무장지대(DMZ)와 접경지역 자료들을 모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렇듯 세분화, 지역화, 전문화되어 가고 있는 공공도서관들이 인공지능(AI), 가상현실, 사물인터넷 등이 키워드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어떤 구실을 할 수 있고,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는 지난 12일 ‘도서관주간’을 맞이해 서울 서초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도서관에 기술을 입히다’를 주제로 기념포럼을 열었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김태경 서기관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다양한 정보, 기술, 도서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도서관이 현재 직면한 도전과 미래의 발전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먼저 윤종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도서관의 세가지 도전으로 ‘생각과 지식의 해체’, ‘빅테크기업의 존재적 위협’, ‘일의 변화와 잠식’을 꼽았다. 인터넷의 발달이 생각을 넘어 뇌 구조를 바꾸고 있으며 구글에서 찾을 수 있는 지식을 마치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으로 착각하는 시대가 됐다고 그는 진단했다. 빅테크기업이 ‘신’처럼 소비자들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감시 자본주의가 도래하고 기술이 인간과 노동을 대체하는 시대가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공감과 인간성이 중요한 덕목으로 부상될 터이기에, 도서관의 역할도 더욱 중요하다고 그는 주장했다. 그는 도서관을 디지털 플러그를 뽑고 인간 되찾기 프로젝트를 실천하는 ‘공감과 연대감이 살아 있는 공간’으로 제안했다. 이에 따라 사서는 ‘공동체 교육과 소통의 퍼실리테이터’가 되어야 하며, 이러한 크리에이티브한 공동체가 강력한 사회 안전망이 될 수 있다고 그는 주장했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도서관의 미래로 ‘메타 라이브러리’ 개념을 제안했다. 솔트룩스는 국내 최다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관련 기술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4차 산업혁명 기술업체다. ‘메타 라이브러리’란 초월도서관, 변화무쌍한 도서관, ‘도서관의 도서관’이면서 동시에 ‘나만의 도서관’, ‘특정한 조직만의 도서관을 만들 수 있는 도서관’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런 메타 라이브러리가 되기 위해선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이 연결되고, 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곳에서 사서의 역할은 코치이자 상담자이면서, 정보와 인공지능, 사람을 연결하는 존재이자, 혁신 촉진자로 제안됐다. 이 대표는 특히 공감력과 지식의 최적화 능력이 동시에 필요해 인공지능으로 완전히 대체될 수 없는 직업군으로 ‘도서관 사서’를 꼽으면서, 사서는 상담자이자 지식을 소통하는 촉진자 구실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컴퓨터는 놀랍게 빠르고 정확하지만 대단히 멍청하다. 사람은 놀랍게 느리고 부정확하지만 대단히 똑똑하다. 이 둘이 힘을 합치면 상상할 수 없는 힘을 가지게 된다’는 아이슈타인의 말을 인용해 “미래 30년 혹은 길게 10년 안에 도서관 안에서 이뤄질 혁신은 똑똑한 인간과 기계가 협력해 새로운 지식의 장이 마련되는 곳”이라고 예견했다.
고재민 수원과학대 교수는 공동체를 변화시키고 연결하는 공간으로서 도서관의 역할을 강조했다. 고 교수는 실내건축디자인학과 교수로 10년 이상 도서관 건축을 전문으로 하면서 문헌정보학 박사까지 취득해 ‘사서 건축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그는 “많은 미래학자들이 미래에 없어질 공공 시설물로 도서관을 들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없어질 상위 직업으로 사서를 말하는데 절대 그럴 일이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훨씬 더 도서관 중심 사회로 개편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장기적인 비대면 상황이 ‘코로나 블루’ 등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인간에게 소통은 본능적으로 중요하다. 그는 “도서관만큼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없다”며 “앞으로 도서관의 하드웨어적인 공간은 더 지켜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영월군 월담도서관을 사례로 들어, 지역에 새로 지어진 도서관 하나가 개인의 삶과 가족의 삶, 나아가 공동체의 삶을 얼마나 풍요롭고 풍성하게 변화시키는지 생생하게 설명했다. 특히 그는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면서 지역민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과 건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결론적으로 “이제는 ‘라이브러리’(library)가 ‘라이프러리’(liferary, 삶이 소통하는 공간)가 되어야 한다”고 마무리지었다.
이날 행사에 대해 한국도서관협회장인 남영준 중앙대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우리 도서관들이 시민의 도서관 활용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신기술과 전략을 이용자와 사서가 함께 공유하고 공감하는 뜻깊은 행사였다”고 평가했다.
한편, 지난해 ‘도서관법’이 개정되면서 내년부터는 4월12일 ‘도서관의 날’이 법정기념일로 지정되게 되었다. 이에 대해 박정렬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도서관의 날을 계기로 도서관이 국민의 삶에 더 깊숙이 함께하며, 지식정보와 학문, 문화와 예술, 여가를 풍요롭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아리 객원기자 a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