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동조합 경기방송지부가 지난 6일 사옥 앞에서 “경기방송 이사회 자진 폐업 규탄”을 외치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제공
전국언론노동조합 경기방송지부가 지난 6일 사옥 앞에서 “경기방송 이사회 자진 폐업 규탄”을 외치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제공

초유의 자진 폐업 선언을 한 <경기방송>의 운명을 가를 주주총회가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표이사가 이사회와 다른 입장을 밝히며 사임을 하는 등 경기방송 내부의 분열이 심화하는 양상이다.

지난 6일 사직 의사를 밝힌 정수열 <경기방송> 대표이사는 10일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직원들의 생존권을 고려하지 않은 방식의 폐업에는 동의할 수 없어 당시 폐업에 관한 입장문을 내 명의로 내는 것을 거부했다”며 “다만 폐업을 하더라도 다른 건강한 사업주가 와서 계속 방송을 이어갔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7일 <경기방송이> 낸 ‘폐업 결정에 관한 입장문’은 대표이사 명의가 아닌 경영지원국장 명의로 발표된 바 있다. ‘폐업 결정’을 싸고 이사회 내부에 갈등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정 대표는 사직을 하며 ‘폐업 결정에 관한 입장문’을 다시 냈다. 그는 입장문에서 “<경기방송>의 주주는 폐업하더라도 전파는 중단 없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도민의 청취권과 문화 향유권을 위하고 방송 종사자들의 생존권을 위해서라도 방송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광고

한편 <경기방송>은 최근 사내에 희망퇴직자 모집 공고를 내고 “오는 12일까지 퇴직을 신청하는 경우 성과급 기준으로 300~500%의 위로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희망퇴직자의 전직을 회사 쪽이 최대한 지원할 예정이며, 만약 주주총회에서 폐업이 부결될 경우 희망퇴직자를 우선적으로 재고용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사 쪽의 이런 행태에 대해 구성원들은 “폐업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분열시키려는 시도”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ㄱ피디는 “경기방송 노동조합원은 14명인데 최근 비조합원이었던 5명이 가입하는 등 연대 움직임이 생겨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자, 희망퇴직이란 수를 써 직원들끼리 분열을 하게 만들고, 폐업이 되지 않더라도 구조조정을 하기 위한 수순을 만들어 놓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ㄴ기자는 “노조원끼리는 희망 퇴직을 하지 않기로 합의를 했지만, 그 외 구성원의 생각은 알 수 없고 서로 쉬쉬 하는 분위기”라며 “주주총회에서 폐업이 가결될지 부결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굳이 희망퇴직을 받는 것 자체가 폐업을 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지민 기자 godjim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