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으로 구월구일 중구(重九)는 대표 중양절(重陽節)이다.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고 참새가 갑자기 자취를 감추는 시기로 가을에 방점을 찍는 중요한 명절이다. 우리 선조들은 음양학에 따라 음체질인 우리민족에게 양수 즉 홀수 중복일은 양기운이 성해 하늘이 우리를 축복하는 길일이라 믿어 중양이라 이름 붙였다. 중삼(重三)인 3월3일은 삼월삼짓날 5월5일은 단오, 7월7일은 칠석, 9월9일은 중구. 그중에도 양수 1과 음수 2가 결합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진 최초의 길수(吉數) 3이 3번씩 겹쳐져 만들어지는 완전수 9가 또 겹치는 날인 중구는 말그대로 대길일(大吉日). 그런데 불행하게도 이 시기는 농사일이 한창 바빠지는 때. 그래서 ‘가진자들만의 명절’로만 이어지다 보니 지금은 명절축에도 들지 못하게 되었다.
사실 중양절은 중국에서 유래한 명절로 한족의 전통명절이다. 당송(唐宋) 대에는 추석보다 더 큰 명절로 지켜졌다고 한다. 우리기록에도 조선 세종 때에 중삼과 중구를 명절로 공인하는 한편 중구를 특히 중요하게 여겨 늙은 대신들을 위한 잔치인 기로연(耆老宴)을 추석에서 중구로 옮겼고 특별히 과거시험을 실시하여 이날을 기리기도 하였다. 왜 세종대왕은 가진자들의 명절인 중구를 부흥시켰을까. 한글의 창제와 반포를 결사적으로 막았던 그들만의 리그를 무너뜨리고 ‘어리석은 백성도 제 뜻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 싶었던 세종의 꿈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하면 비약일까.
아무튼 중양절에는 여러 가지 행사가 벌어지는데 고려 이래로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임금이 참석하는 제사를 올렸고, 사가(私家)에서도 제사를 지내거나 성묘를 했다. 또 사당(祠堂)이 있는 집에서는 배, 유자, 석류, 잣을 꿀물에 섞어 만든 화채를 만들어 조상에게 올리기도 했다. 대표 풍속은 화류(花柳)놀이. 중삼에는 반상(班常)의 구별없이 가까운 들과 산을 찾아 진달래꽃을 얹은 화전(花煎)에 두견주를 마시며 놀았다면 중구에는 주로 양반들이 높은 산에 올라 국화전을 안주삼아 장수(長壽)에 좋다는 국화주를 마시거나 혹은 술잔에 국화를 띄우는 범국(泛菊), 시를 짓고 술을 나누는 시주(詩酒)를 즐겼다. 그들만의 이름은 국화절(菊花節) 또는 상국일(賞菊日).
고려가요 동동에 “9월 9일에 아으 약이라 먹는 황화”라 지칭한 노란국화는 감국(甘菊)이나 산국(山菊)을 말한다. 꽃으로 화전을 부치거나 말려서 차로 마시거나 술을 담근다. 냄새는 향기로우나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고 폐경과 간경에 작용한다고 하여 전통의학에서는 열감기나 편도선염·폐렴·기관지염·위염·장염·등의 치료에 쓴다. 그밖에 풍병과 부인병에 약재로 쓰이기도 하고 습관성두통을 약화시키고 숙면에 도움이 된다하여 베갯속에 사용되는 구절초(九節草)는 이름 그대로 9월9일 중구에 채취한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는 기록도 있다.
하나 더, 등고회(登高會)는 중양절의 중요한 행사인데 높은 산에 올라가 모자(갓)를 산 아래로 던지는 풍속. 노인성질환인 치매나 뇌졸중을 예방한다는 미신에서 자유롭지 못하는 건 ‘지체 높으신 분들’이라해도 다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