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00
김민전 최고위원(왼쪽). 연합뉴스
김민전 최고위원(왼쪽).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 탄핵 추진 ‘당론 반대’를 선포한 뒤, 내란죄로 번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두둔하는 발언이 공개적으로 쏟아지고 있다. 야당의 탄핵소추안이 “친북·친중의 반란”이라는 주장까지 나왔다. 국회를 군홧발로 짓밟고, 영장 없는 체포 등 시민 기본권을 박탈하는 조처가 ‘모두 민주당 때문’이라는 것이다. 야당에서는 “내란 동조당” “내란 부역자 선언”이라고 비판했다.

5일 아침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서 친윤석열계 김민전 최고위원은 “윤석열 정부가 어떤 성과를 내고 있고, 민주당이 얼마나 무도하게 굴고 있는지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지 못해서 계엄이라는 있어서는 안 될 일이 발생한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상계엄 선포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면서도 비상계엄 선포 책임은 대통령이 아닌 야당에 있다는 것이다.

김 최고위원은 전날 야당이 국회에 제출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내용을 거론하며 “친미 대 친북, 친중 간의 대결이 있고 탄핵소추문에는 바로 그들의 반란이 있는 것”이라는 주장까지 했다. 윤 대통령 탄핵 추진 배경에는 ‘친북·친중의 반란’이 있다는 취지다. 그는 이런 발언을 하며 울먹이기도 했다.

광고

친윤계인 인요한 최고위원도 “대통령 심정을 이해하게 되는 부분이 어제 많이 있었다”며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했다. 인 최고위원은 “그동안 야당이 특검·탄핵 등 엄청나게 비열하게 대통령과 가족을 몰아붙인 점을 기억해 주기 바란다”고 했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비상계엄 해제에 이르기까지 국민께 큰 충격과 심려를 끼친 데 대해 여당 원내대표로서 국민께 깊은 사과를 드린다”면서도 “22대 국회 내내 민주당의 막가파식 폭거에 국회가 망가졌다”며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유에 동조했다. 추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 탄핵 추진에 대해 “국론 분열과 갈등을 부추기고 대한민국 기능을 마비시키는 삼권분립에 대한 위협”이라고 주장했다.

광고
광고

비상계엄을 여러 번 선포했던 전두환·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여당인 민주정의당·공화당을 방불케 하는 주장에, 야당에서는 “내란 동조당”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을 향해 “쓰레기 정당, 국민의 짐이 되지 말고 역사에 죄를 짓지 마시라”고 말했다.

광고

같은 당 김병주 의원은 불교방송(BBS) 라디오 ‘함인경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국민의힘이 아니라 내란 동조당이라고 바꿔야 될 것 같다. 내란죄에 동조하는 국민의힘을 국민들이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앞서 국민의힘의 탄핵 당론 반대 방침에 “내란죄의 부역자가 되겠다고 선언한 것”이라고 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