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 임기를 마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연임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합의 추대론’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192석 거야의 대여 투쟁을 끌어갈 리더가 이 대표뿐이라는 현실론에 바탕을 둔 주장인데, 당 일각에선 “경쟁 형식을 갖춰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4·10 총선 이후 민주당 곳곳에선 이 대표의 연임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이 대표가 연임에 나설 경우 8월 전당대회에서 경선을 벌이기보단 합의 추대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23일 한겨레에 “어차피 이 대표가 연임에 도전하면 경쟁자가 나서지 않거나, 경쟁에 나서더라도 도전자는 형편없는 지지율로 망신만 당하지 않겠느냐”며 “그럴 거면 추대하는 게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2년 전 전당대회에서도 77.7%(권리당원 78.2%, 대의원 72%)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됐는데, 총선에서 승리하고 당 주류 재편을 이뤄낸 현 상황에선 더 높은 지지를 얻을 가능성이 크다. 당의 또 다른 당직자도 “이 대표 본인도 연임에 나서게 되면 합의 추대로 명분을 세우려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계파를 막론하고 당내에서 이 대표의 연임에 무게를 둔 발언들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 대표 지지자들 역시 조만간 ‘이재명 당대표 연임 요청 대회’를 열기로 하는 등 군불 때기에 나서고 있다. 이렇다 할 도전자가 없다면 합의 추대 방식이 유력해질 수 있다. 민주당이 당대표를 합의 추대한 전례가 없지는 않다. 2007년 2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레임덕으로 위기에 놓인 열린우리당(현 민주당)은 정세균 의원을 당 의장에 합의 추대 방식으로 선출했다.
당대표 도전자로 거론돼왔던 이들 역시 지금의 분위기에선 승산이 없을 걸로 보이는 전당대회에 나서기 어려울 거란 전망이 짙다. 통상 승산이 적더라도 차기 대선이나 지방선거 출마 등을 노리고 대중정치의 지지 기반을 쌓으려 전당대회에 출마하는 경우도 있지만, 공연히 이 대표와 각을 세웠다가 ‘반이재명계’ 이미지를 얻으며 입지가 좁아질 수 있는 까닭이다. 한 다선 의원은 “민주 정당에서 비대위 체제도 아닌데 당대표를 추대로 뽑는 게 말이 되나. 어떤 식으로든 경쟁을 통해 당권을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달 3일로 예고된 원내대표 경선에서도 친이재명계인 박찬대 의원이 합의 추대될 가능성이 높다. 애초 원내대표 경선에 도전할 걸로 전망됐던 서영교·김성환 의원이 잇달아 ‘불출마’ 입장을 밝힌 데 이어 김민석 의원도 이날 불출마로 가닥을 잡았다. 민주당의 또 다른 다선 의원은 “이번에 출마해서 경쟁했다가 ‘찐명’ 박찬대에게 밀려 ‘찐명 대 반명’ 구도에 몰릴 경우 다음에도 도전하기 어려워질 수 있어서 출마를 접은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